TV 드라마를 보면 사람들이 말다툼을 하거나 극적인 상황에서 충격을 받은 후 뒷목을 잡고 쓰러지는 장면이 가끔 나온다. 쓰러진 이유에 대해 설명이 나오지는 않지만, 대부분 심장마비나 뇌출혈 같은 심각한 질환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이 의외로 심각한 질환이 아닌 경우도 있다. 그 대표적인 질환이 ‘미주신경성 실신’이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실신의 가장 흔한 유형이다. 신체적, 정신적 긴장으로 인해 혈관이 확장되고 심장 박동이 느려지며 혈압이 낮아지는 현상이 갑자기 나타나는데,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해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게 된다. 갑작스런 충격이나 심각한 스트레스는 근육이 뭉치기 쉬운 경추(목)를 자극하는데,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뇌에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뒷목을 잡게 된다. 실신 전에 순간적으로 아찔한 느낌을 받는 경우도 흔하다. 어지럽고 속이 메스껍고, 피부가 창백해진다. 마치 터널 안을 보는 듯한 느낌으로 시야가 제한되고, 식은 땀을 흘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미주신경성 실신이 나타나는 원인은 자율신경계의 일시적인 장애이다. 신체적인 스트레스와 감정적 긴장은 혈압을 조절하는 자율신경 기능을 마비시키고, 맥박이 감소하면서 동시에 하지 혈관을 이완해 혈압이 낮아진다. 낮아진 혈압 때문에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고 일시적으로 뇌기능이 정지되면서 실신하게 되는 것이다. 오랜 시간 서 있거나 고열에 노출됐을 때, 피를 보는 등 신체 손상에 대한 두려움, 정맥 채혈, 주사 통증으로 미주신경성 실신이 유발될 수 있다. 예전 한여름 운동장 조회 시간에 학생들이 쓰러졌던 이유도 이와 같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일시적인 경우에 대부분 인체에 무해하고,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실신할 때 넘어지면서 팔다리, 머리, 뇌 부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잠을 충분히 못 자거나 과로하거나 피곤한 경우 더 잘 생기게 되니 충분히 휴식하는 것이 좋다. 예방접종을 한 후 15~30분 정도 근처에 머물면서 상태를 체크하는 것도 갑자기 일어날 수 있는 미주신경성 실신을 우려해서이다. 때문에 예방접종 후에는 15분 정도 누워서 휴식을 취하고 일어날 것을 권한다.
만일 실신 전 식은땀이나 어지럼증, 정신이 혼미해지는 등의 전조증상이 나타난다면 (가능하면)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좀 더 잘되도록 누워있는 있어야 한다. 이때 다리를 몸보다 높이 올려놓는 것이 좋다. 증상이 나아진 후에는 바로 일어나지 말고 몇 분간 앉아 있다가 천천히 일어난다. 오랫동안 앉아있어야 하거나 서 있어야 한다면 주기적으로 다리 근육의 긴장을 풀고, 자세를 바꿔 혈액 순환을 도와야 한다. 또한 너무 더운 장소나 비좁은 곳, 답답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몸을 조이는 스타킹이나 허리띠, 넥타이 등은 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실신 증상이 빈번하게 자주 있거나 노인에서 나타나는 실신은 심각한 질환의 증상일 수 있으므로, 그냥 무시하고 넘어갈 수 없다. 실신을 유발하는 원인질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부정맥과 같은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질환은 실신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심전도검사, 심장초음파, 운동부하검사, 혈액검사, 뇌MRI, MRA(혈관촬영) 등 여러 검사들이 시행될 수 있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정해진 약물치료가 없지만, 실신의 유형에 따라서 약물치료가 도움이 되기도 한다. 약물치료 외에도 행동요법, 운동요법도 도움이 되며, 안정과 휴식이 치료방법이 될 수도 있다. 약물치료를 할 때는 혈압을 올려주는 성분이나 항우울제 등을 사용하기도 하며, 실신 빈도가 1년에 5번 이상이거나 실신으로 인해 심각한 손상이나 사고를 경험한 40살 이상의 환자에게는 심장 박동기 삽입 등의 수술적 치료가 시도되기도 한다. (글=수원 윌스기념병원 뇌신경센터 이동규 원장)
[ 경기신문/정리 = 신연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