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7 (금)

  • 구름조금동두천 20.2℃
  • 구름많음강릉 24.2℃
  • 구름많음서울 20.0℃
  • 구름많음대전 21.9℃
  • 구름많음대구 22.3℃
  • 구름많음울산 22.9℃
  • 구름조금광주 22.5℃
  • 구름조금부산 21.9℃
  • 구름많음고창 ℃
  • 맑음제주 22.9℃
  • 구름조금강화 20.2℃
  • 구름조금보은 20.0℃
  • 구름조금금산 21.5℃
  • 맑음강진군 23.2℃
  • 구름조금경주시 23.0℃
  • 구름조금거제 22.0℃
기상청 제공

[문화산책] 유엔 공용어와 세종학당

 

 

 

한글이 유엔 공용어에 들어갔다는 뉴스가 SNS를 타고 널리 퍼졌다. ‘한류열풍으로 기존 공식 언어의 하나인 프랑스어보다 사용자가 많은 한국어를 UN에서 표결,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는 것이었다. 엄청난 일이었다. 왜 이런 중요한 뉴스를 주요 언론에서 다루지 않는 걸까.

 

확인을 해보니 역시 가짜뉴스였다. 좋다 말았다.

 

현재 유엔의 공용어는 여섯 개다. 영어와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 중국어, 아랍어다. 유엔의 모든 문서가 이들 6개어로 작성, 배포된다.

 

현재 자국어를 유엔의 공식 언어로 채택하려 노력하는 나라는 인도와 일본이다. 15억에 육박하는 인도의 인구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다. 1억2000이 넘는 일본의 인구는 세계 11위다. 한국은 이들 두 나라에 비해 인구수가 적다. 남한의 인구는 5200만 명으로 세계 28위다. 북한의 인구는 2600만 명으로 세계 56위다. 남북한을 합하면 7800만으로 인구 8300만이 넘는 독일을 잇는 18위다.

 

하지만 유엔 공용어가 인구수에 꼭 비례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 언어의 국제적 위상과 문화적 영향력이 주요한 변수임은 유엔의 프랑스어 기념일이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공동체인 ‘프랑코 포니’ 출범일인 3월 20일인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프랑코 포니는 정회원 55개국과 준회원 3개국 옵서버 12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회원국에 들어가 있는 캐나다와 캄보디아 이집트를 보면 알겠지만, 이들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쓰는 나라가 아니다. 프랑스어 문화네트워크에 가까운 것으로 1989년에 창설된 프랑코 포니는 4년에 한 번 회원국이 참여하는 예술과 스포츠 분야의 국제축전을 연다.

 

국제 언어가 되는 데 있어 그 언어로 탄생한 문학이 얼마나 중요한가는 영어와 러시아어, 스페인어의 기념일을 보면 알 수 있다. 영어 기념일은 셰익스피어의 탄생일인 4월 23일이고, 러시아어의 날은 러시아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푸쉬킨의 탄생일인 6월 6일, 스페인어의 날은 세르반테스가 세상을 떠난 4월 23일이다.

 

한국의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한국어를 국제기구의 공용어로 채택하자는 캠페인에 나섰다. 지금의 한국은 과거 문화국가로 위상이 드높았던 프랑스보다 문화적 영향력이 낮지 않다. K드라마와 K팝을 필두로 한 K시리즈가 세계를 휩쓸고, 한국어의 인기도 치솟고 있다. 웬만한 사람이면 한국어 몇 마디씩은 하는 시대가 열렸다.

 

한글을 유엔의 공용어로 만드는 일은 불가능한 꿈이 아니다. 한글을 국제사회의 공용어로 만드는 꿈을 현실로 만들려면 한국어의 토대와 영향력을 강화하고 확대하는 범국가적 노력이 필수다. 셰익스피어와 푸쉬킨, 세르반테스가 지난날의 영어와 러시아어, 스페인어를 빛냈듯이 오늘의 한국어를 빛내는 작가를 세계에 등판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문학에 대한 국가 정책의 수립과 체계적인 집행, 한국문학번역원이 추진하는 한국문학번역대학원대학교의 설립이 중요한 이유다.

 

한국어 교육과 문화보급 사업을 펼치는 세종학당의 확대와 강화는 핵심 국책사업이 되어야 한다. 이미 세계 260여 개소에 진출해있는 세종학당의 인기는 폭발적이다. 한 해 수만 명이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경쟁한다. 세종학당을 프랑코 포니와는 차원이 다른 한국어 국제네트워크의 전진기지로 삼아 해마다 국제축전을 연다면, 아마 세계가 놀랄 페스티벌이 될 것이다.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는 획기적으로 높아질 것이며, 경제적 효과도 막대할 것이다. 일본과 인도가 결코 흉내 내지 못할 일이다.

 

여기다 세계의 유일한 분단국인 남북한이 나란히 손잡고 한글을 유엔의 공용어로 채택하기 위한 캠페인에 나선다면 금상첨화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지겠다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은 국제적 시야에서 대한민국을 초일류 국가로 만들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경쟁해야 한다. 모국어 정책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한글의 국제화를 위한 정책을 준비하지 않는 후보는 대통령이 될 자격이 없다. 모국어를 담당하는 문학과 한국어 교육기관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과감한 지원정책을 실행할 비전과 능력을 지닌 대통령을 간절히 기대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