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110여일 남겨둔 상황에서 여야가 대선 승리를 위해 지방선거 활동에 제한을 두면서 출마 예정자들의 조심스런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18일 지방선거 공천 일정을 대선 이후로 연기했고, 국민의힘은 지난달 25일 대선전까지 지방선거 후보자들에게 선거 운동 금지령을 내렸다.
여야의 이 같은 조치는 대선이 초박빙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승기를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보이지만 일각에서는 지방선거 출마자들에게 제약을 준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수석 경기도의원(민주·이천1)은 “지방선거 활동에 목소리를 못 내고 대선에 목소리를 내야 하니 제약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대선 결과에 따라 차기 방향이 결정되니 신중하게 판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선이 지방선거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기초단체장 예비후보로 거론되는 일부 도의원들도 대선에 집중하느라 출마 여부 언급에는 조심스러운 모양새다.
김규창 도의원(국힘·여주2)은 “확실히 출마하겠다고 말하기 조심스러운 면이 있다”면서 “우리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들고 난 뒤 거취를 밝히겠다”고 말을 아꼈다.
정대운 도의원(민주·광명2)도 “중앙당에서 지방선거 활동을 대선 이후로 미루라는 방침이 내려진 만큼 지금은 아무런 말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유상호 도의원(민주·연천)은 “대선에 열중하고 있어 출마는 나중에 발표할 예정”이라며 “일찍 출마한다는 사람도 있겠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서 가야지 무턱대고 가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지방선거가 대선과 맞물리며 출마 예상자들의 선거운동에도 제약이 생기면서 각종 활동에 목소리를 낼 시간이 부족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러나 중앙당으로부터 공천을 받아야 출마가 가능한 만큼 출마 예상자들은 벙어리 냉가슴 앓듯 속내를 억누르고 있다.
지난달 27일 더불어민주당 수원시장 예비후보들도 지방선거 활동 기간이 부족하지 않느냐 질문에 “대선이 끝나고 선거 운동을 해도 충분하다”고 만 할뿐 구체적 언급은 피했다.
의정부시장 출마가 예상되는 김원기 도의원(민주·의정부4)은 “원래는 1월부터 지방선거 운동을 하는 것이 정상이었다면 이번에는 대선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민주주의는 정당정치인 만큼 개인적 손해가 있어도 대선 승리를 위해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선 이후 얼마되지 않는 사전 선거기간도 코로나19로 인해 활동에 제약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SNS를 활용하는 등 효율적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