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9구급대원들이 주취자 등에 의해 폭행당하는 사건이 연평균 200여 건이 발생하며 경기도는 구급대원 폭행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은희(국힘·서울서초갑)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구급대원 폭행 피해는 총 1029건이 발생했다.
경기도는 최근 5년간 228건의 구급대원 폭행 피해가 발생했다. 서울(291건)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뒤어어 부산 77건, 충남 49건, 대구 48건 등으로 확인됐다.
구급대원 폭행 가해자 중 87%는 주취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전체 폭행 사건 중 구속은 31건에 불과해 3% 수준의 낮은 구속률을 보였다.
소방당국은 구급대원 폭행피해 예방 및 대응을 위해 신고·접수 단계부터 환자의 주취 상태를 확인하고 폭력·범죄 경력 등 위협 요인 인지 시 경찰 공동대응 요청 또는 지원차량을 동시 출동시킨다.
또한 구급차 자동 경고·신고 장치와 구급대원 안전모, 웨어러블 캠 등의 보급을 확대하는 등 구급대원 폭행피해 관련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조은희 의원은 “구급대원 폭행 근절을 위한 소방당국 차원의 다양한 캠페인과 홍보콘텐츠가 배포되고 있지만 구급대원에 대한 폭행 피해는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사회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 의원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이송 거절당한 비응급환자가 1만 9356명에 달하며 응급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 의원은 “자신의 편의를 위해 구급차를 부르는 비응급환자들로 인해 정작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출동할 구급차가 없는 아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내 가족이 응급환자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비응급상황 시 구급차 이용을 자제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