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차 진입이 곤란하거나 불가한 지역이 전국 800여 곳(445km)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돼 골든타임 확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은희 의원(국민의힘·서울서초갑)은 5일 소방청 국정감사에서 소방차의 신속한 현장 진입은 화재 시 대응과 구조활동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조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하거나 진입이 곤란한 곳은 883곳으로, 거리로는 444.856km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역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지역이 627곳(71%), 상업지역이 168곳(19%). 농어촌·산간·도서지역이 57곳(6.5%)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국 화재발생 현황에는 약 3만 6000건의 화재 중 1만 건 이상(28%)이 ‘주거지역’에서 발생했다. 특히 목조밀집 지역(521곳)에 소방차 진입 곤란·불가 구간이 집중되어 있어 피해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진입 곤란·불가 사유는 도로협소가 573곳으로 가장 많고, 상습 주정차 지역이 181곳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진입 곤란·불가 지역 내 비상소화장치 설치율은 평균 72.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 본부별로 보면 충남 20%, 경남 33.3%, 창원 41.2%, 경기 43% 순으로 낮았다.
‘비상소화장치’란 화재 발생 시 소방차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 관계자나 주민들이 초기 화재를 진압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장비다.
조 의원은 “축구장 몇 천개 규모의 산을 태우는 큰 산불이 처음엔 담뱃재 같은 작은 불씨에서 시작한다”며 “그만큼 골든타임을 지켜 신속하게 진입하는 것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기본 철칙”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거밀집지역이나 학교 등에서 출동 장애요인이 없는지 살펴보고, 소방도로 확보와 관련된 예산 편성 우선순위를 보고해달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