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17일 이배용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의 역사관 및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전력을 두고 국정감사장에서 날선 공방을 펼쳤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위원장이 박근혜 정부 시절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참여한 것에 ‘식민사관’이라고 공세를 펼친 반면 국민의힘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정당성’으로 맞섰기 때문이다.
이날 국교위 국정감사에서 문정복 민주당 의원은 ‘우리가 근대화에 실패한 것은 준비 없이 근대화의 흐름에 따라 밀려왔기 때문’이라는 이 위원장의 과거 발언에 “전형적인 친일 식민사관”이라고 비판했다.
문 의원은 이어 “조선은 자력으로 근대화가 불가능하니 일본이 시혜를 베풀어줬다는 뜻 아니냐”며 “2013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을 맡던 시기에 명성황후를 ‘민비’로 지칭했다”고 지적했다.
강민정 민주당 의원은 “(이 위원장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가장 적극적으로 활동한 것은 이미 국민적으로 검증 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지금도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라고 질의했다.
이에 이 위원장은 “당시에는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그 부분은 검토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의 정당성과 자유민주주의 관련 교육의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은 “과거 역사교과서가 이념 편향적이라는 지적이 있었고, 2013년에는 좌파 단체들이 교학사 교과서가 친일 미화라며 교과서 채택을 조직적으로 방해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이어 “정부가 선택권을 주자는 취지에서 여러 검정교과서 중의 하나로 국정교과서를 만든 것”이라고 두둔했다.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은 “2022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시안에 남침이 기술되지 않았으며 자유민주주의적인 기본질서에 대한 설명이 없다는 지적이 있다”며 “학생들에게 자유민주 질서에 대해 충분히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박근혜 정부 시절 친일·독재 미화 비판을 받고 철회된 역사 국정교과서 편찬심의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전력이 있다.
이 위원장은 당시 국정화 추진 이유에 대해 “한편에서는 좌편향, 한편에서는 우편향이라고 하는 논란이 있어서 사회적 여론에 따라 교육부가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