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가 18일 야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이 시대전환 조정훈 의원에게 사과를 요구한 것이 여야 간 말싸움으로 번지며 시작 40분 만에 파행됐다.
이날 국회 법사위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과 수원지방검찰청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에 나섰다.
법사위원들의 본격 질의에 앞서 기 의원은 조 의원을 향해 “앞뒤 다 잘라버리고 ‘북한의 최고 존엄이었다’고 얘기한 게 무슨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면 정중하게 사과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기 의원은 “어제 제가 ‘한 분이 북한군에 의해 무참히 피해를 당했는데 저기 최고 존엄인가 하는 사람이 공식적으로 사과한 사안인데’라고 한 뒤 ‘취지는 최고 존엄이라고 일컫는 사람들이라는 걸로 수정하겠다. 만약 그렇게 표현이 되었다면’이라고 속기록에 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조 의원은 그 때 ‘기 의원이 북한의 최고 존엄이 사과했다’고 발언했다. 이건 앞뒤 맥락 다 잘라버린 것이다. 웃자고 얘기했더니 죽자고 달려드는 격”이라며 비아냥 댔다.
이에 조정훈 의원은 “어제 (기 의원 발언) 맥락은 제가 듣기로는 미사일이 잘못 발사된 것에 대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에 대해서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도 사과했는데 우리 대통령은 왜 사과하지 않느냐 이런 맥락이었다”고 반박했다.
조 의원은 “웃자고 한 농담이라고 했는데 그 농담은 웃을 수 없고 해서는 안되는 농담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고 존엄’은 북한 체제를 상징, 그 정점에 김 위원장이 있다며 “대한민국 헌법은 대한민국 영토를 한반도와 부속 영토 전체로 보고 있다. 따라서 농담으로라도 최고 존엄으로 부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기 의원의 발언으로 월북 의사와 관계없이 우리 국민을 피격하고 소각했는데. 그것에 대한 비난에 집중되지 않고 이상한대로 문제가 흘러가는 것에 큰 유감이다. 사과할 의사가 없음을 밝힌다”고 답했다.
그러자 기 의원은 “제가 언제 윤 대통령에게 사과를 요구했냐”라며 발끈했다. 그러면서 함께 자리한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죄송하지만, (국민의힘이) 이런 말씀을 주셨으면 의례적인 정치공세다 생각하고 넘어갈 수 있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상황을 지켜보던 국민의힘 의원들은 “무슨 비유를 그렇게 하냐”라는 등 즉각 반발, 여기에 민주당 박범계·김남국 의원 등 야당 의원들이 다시 반박하면서 10여 분간 소란이 이어졌다.
김도읍 법사위원장은 중재 끝에 “도저히 감사를 계속할 상황이 아닌 것 같다”며 시작 40여 분만인 오전 11시 감사 중지를 선포, 약 43분여 뒤에 재개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