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북한이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을 재차 발사하거나 핵 실험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가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각국 정상을 향해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캄포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제17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평화로운 인도·태평양을 위해서는 북한의 비핵화가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와 함께 “북한과의 대화의 문은 늘 열려있다”며 북한이 비핵화에 나설 시 윤석열 정부의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에 따라 전폭적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을 국제 사회에 피력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는 자유로운 인도·태평양을 지향한다”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 인권, 법치와 같은 핵심 가치가 존중돼야 한다.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은 용인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국제법 위반이자 우크라이나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규정했다.
발언 당시 윤 대통령 왼쪽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대신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자리했다.
나아가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 및 정치적 독립이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해 인도적 지원 확대 방침도 밝혔다.
미얀마 쿠데타 유혈사태와 관련해서는 “민주주의 후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며 미얀마에서 자유와 민주주의가 다시 꽃필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인도적 지원 확대를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이 신경전을 벌이는 남중국해를 언급하며 “남중국해는 규칙 기반의 해양 질서를 수호하는 평화와 번영의 바다가 돼야 한다. 국제법의 원칙에 따라 항행 및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하고,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개방적이고 호혜적인 협력 추진 의지를 밝히고 “역내 무역과 투자를 증진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다”고 했다.
이를 위해 “한국은 디지털 혁신 모범국가로서 아세안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기후변화 대응, 보건 역량 강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우리의 기여 외교를 대폭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