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신을 둘러싼 각종 ‘사법 리스크’를 두고 “검찰 리스크”라고 정정하며 결백을 주장했다.
이 대표는 12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신년기자회견에서 ‘사법 리스크로 인해 검찰 소환조사를 받은 소회’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가능하면 사법 리스크가 아닌 검찰 리스크라고 말씀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이 대표는 지난 10일 검찰 소환 조사와 관련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배우 부당한 처사”라면서 “잘못한 일이 없기 때문에 조사에 임했지만 검찰의 요구는 매우 부당하고 옳지 않은 처사임을 지적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이 대표의 ‘성남FC’ 등 검찰 리스크에 대한 맞불 성격으로 보이는 ‘김건희 여사 특검 TF’를 출범, 김 여사 의혹에 대한 검찰의 공정 수사에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그 두 사안을 연관 짓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며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검찰은 (저에 대해) 없는 사실을 지어내서 검찰이 무혐의 (결론을 냈고), 수년간 수사에도 증거를 찾지 못해 종결한 사건을 (검찰이) 억지로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그런데 김건희 여사에 대한 부분은 아시는 것처럼 명백한 증거들이 너무나 많이 드러나고 있지 않나”라며 “두 사안이 연관 있다고 하면 제가 좀 억울하지 않겠나”라고 호소했다.
지난해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 당시 이 대표는 국회의 불체포 특권과 면책권을 내려놓은 것에 100% 동의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 대표는 ‘수원지검 성남지청의 구속영장 청구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는데, 불체포 특권을 내려놓을 생각이 있나’라는 질문에 “가정적 질문이라 답변을 드리기는 적절치 않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정당한, 적법한 권한 행사에 대해서는 당연히 수용해야 하지만, 경찰복을 입고 강도 행각을 벌이고 있다면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검찰 그 자체가 권력이 되어 수사가 아닌 정치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여러분도 고려해 달라”고 덧붙였다.
당 일각에서 논의되고 있는 ‘검찰 신상공개법’과 관련해선 “공직자들이 공식적으로 하는 것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대신 행사하는 것이다”라며 “이 권한을 실제로 누가 했는지를 국민이 당연히 알아야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검찰 일각에서) 조리돌림이라면서 반발한다는 소문이 들리는데 자신이 한 일을 조리돌림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자신들이 한 행위가 부정한 행위임을 인정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