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시간이 넘는 장시간 검찰 수사를 받은 가운데 민주당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는 이를 “정적 제거용 조작수사”라고 규정하며 반발했다.
위원회는 29일 입장문을 내고 “이 대표가 어제(28일)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장시간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처음부터 끝까지 불공정·망신주기 갑질 수사로 일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검찰은 이 대표와 함께 온 천준호 민주당 비서실장과 박성준 대변인이 검찰 청사 앞 포토라인으로 가는 것을 ‘상부 지침’이라며 막아섰고, 여러 차례 항의를 통해 겨우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검찰이 비표를 받은 언론사 외 촬영에 제한을 뒀으나 유투버 가로세로연구소의 촬영은 자유롭게 이뤄졌다며 “박승환 공보담당관은 현직 국회의원은 경내 출입을 막고 ‘가세연’의 출입을 허용한 경위를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송경호 서울중앙지검장에게 묻는다. 민주당 의원들은 막아서고 제한된 언론만 취재를 허용하면서 일부 유투버에게는 활짝 문을 열어주는 것이 ‘상부 지침’인가”라고 했다.
또한 12시간이 넘는 장시간 조사가 이뤄진 것에 대해 “했던 질문 또 하고, 자료를 낭독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런 지연수사로 이 대표 변호인 측이 검찰에 항의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검찰의 고질병인 ‘공무상 비밀누설’도 반복됐다”며 “뉴시스는 28일 기사에서 검찰 관계자의 말을 빌려 구체적 증거제시도 없이 이 대표를 범죄자로 낙인찍는 ‘검찰발’ 피의사실 공표 행위이자 공무상 비밀누설(을 보도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입장문에서 수사를 담당하는 고형곤 제4차장검사, 반부패수사1부 엄희준 부장검사, 정일권 부부장검사, 반부패수사3부 강백신 부장검사, 남대주 부부장검사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 수사 담당자들을 향해 “검찰이 기획한 일정대로 이 대표를 하루 더 포토라인에 세워 범죄자로 낙인찍기 위해 시간 끌기로 일관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검찰은 지연작전을 통해 수사대상자를 망신 주기하는 수사 행태가 얼마나 일상화됐으면 아무런 문제의식조차 느끼지 못하는 모습이다”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어제 검찰조사를 통해 다시 한 번 검찰이 수사가 아닌 정치를 하고 있음이 명백해졌다”며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검찰의 정적제거용 조작 수사에 맞서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