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년간 전기자동차 리콜대수가 총 38만 4000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입산 전기차 리콜이 매년 2배 이상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병욱 국회의원(민주·성남분당을)이 6일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기차 결함 및 조사, 리콜 현황’ 자료를 집계해 공개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전기자동차 리콜(제작결함 시정조치) 대수는 총 38만 4994대 였고, 특히 수입산 전기차 리콜이 2021년~2022년 사이 3.5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3년간 전기차 수입산 18만 8931대·국산 19만 6063대가 리콜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수입산의 증가폭이 컸다.
수입산 리콜대수는 연도별로 ▲2020년 1만 8724대 ▲2021년 3만 8239대 ▲2022년 13만 1968대로 2020년~2021년 사이 2배, 2021년~2022년 사이 3.5배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산 리콜대수는 6만 1880대, 6만 770대, 7만 3413대로 매년 비슷한 숫자를 기록했다.
‘자동차관리법’ 제31조와 제31조의2 등에 따라 자동차·부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하지 않거나 결함이 있는 경우 자동차·부품 제작자가 제작결함 시정조치(리콜)와 보상 조치 등을 취하고 있다.
전기차에 대한 고객들의 결함 신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로는 △2020년 282건, △2021년 445건, △2022년 456건 등 최근 3년간 총 1183건이 결함 신고됐다.
현재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전기차 제작사 3개사의 자동차 모델에 대해 결함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김병욱 의원은 “국토부와 교통안전공단은 전기차 안전 강화를 위해 결함 신고서비스 운영과 결함 조사를 내실있게 진행해 국민들이 전기차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