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5 (수)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2.1℃
  • 구름많음광주 1.3℃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1℃
  • 흐림제주 4.4℃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오동진 칼럼] 극장 영화의 사망 선언. 그 아우성

 

극장이 사멸중이다. 극장용 영화가 죽어가고 있다는 얘기는 코로나 때부터 터져 나왔다. 포스트 코로나, 뉴 노멀 시대가 매우 불안하다고들 얘기했는데 이제는 정말 죽었다, 망했다로 귀결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 극장 티켓 가격은 최고치를 찍고 있다. 주말에는 1만6천원까지 받는다. 거기에 가계 대출금리는 오르고 모든 물가, 심지어 라면 값까지 올라 소비심리가 극도로 위축된 상황이다. 사람들이 제일 먼저 줄이는 게 문화 소비다. 엥겔 계수가 높아진다. 이런 와중에 주무부처의 장관은 유인촌이 됐다. 그는 강성의 자본주의자이다. MB시절이 학습효과를 생각하면 그는 선택과 집중 논리를 내세울 것이다. 되는 영화에만 지원을 하려 할 것이다. 이른바 낙수 효과 론이다. 그런데 어찌 보면 되는 영화만 지원한 결과 되는 영화까지 망하는 결과를 초래해 왔다. 이건 보수 정부, 진보 정부 가리지 않고 비판 받아야 할 대목이다. 어찌 보면 문재인 정부 때 최고의 기회를 놓쳤다. 문재인이 문화 정책을 우선시하지 않은 것은 의외의 일이었다. 도종환-박양우-황희로 이어지는 장관 명단은 지금 봐도 그리 명석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지금 정부의 박보균 – 유인촌 순번은 지나치게 정치적 판단에 입각한 인사로 보인다. 물론 영화는 지도급 인사들에 상관없이 스스로 생존해 온 측면이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극장용 영화가 망하고 있는 것은 이놈의 사회 탓일까 아니면 영화 스스로가 못나고 잘못한 탓일까.

 

국내영화산업이 ‘잘 나가던 때’는 1년 총 관객 수가 2억 명을 넘게 찍었다. 현재까지, 3/4분기까지의 추세를 보면 1억3000만을 왔다 갔다 하는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 토막이 났다. 지난 9월 관객 수는 추석 연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 수가 660만명에서 그쳤다. 최대 비수기라는 4월의 약 700만 관객 수에도 못 미친 수치이다. 한국 블록버스터급 흥행 영화의 창시자(?)였던 강제규 감독의 ‘1947보스톤’이 100만을 못 넘기고, 강동원이 나온 ‘천박사 퇴마연구소 : 설경의 비밀’도 BEP 한참 전에 무너졌으며, 김지운 감독의 ‘거미집’은 영화적 완성도가 뛰어나고 송강호가 주연을 맡았음에도 불구하고 30만(세상에!)을 넘기지 못했다. 오늘 내일 하던 극장이 이번 9월-10월로 사실상 뇌사 판정을 받은 셈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원인 분석이 정확해야 한다. 영화 배급유통 전문가 이하영 씨의 얘기는 주목할 가치가 있다. 그는 “1960년대 TV의 보급이 대중화 됐을 때도 극장의 위기는 찾아 왔었다”며 “그러나 10대와 20대들이 극장으로 돌아 온 것이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OTT 탓만 할 것이 아니라 10대와 20대를 겨냥한 영화들이 기획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그는 내다 본다. 이들 연령층은 1960년대나 지금이나 부모 세대와 같이 영화를 보지 않는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같이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추석과 같은 주요 시즌에 있어 극장 소비의 중심은 팝콘과 콜라를 껴안고 극장 안에서 모임이나 데이트를 즐기는 어린 청소년들과 젊은 연인들이었다. 이하영 씨의 말 대로 이들에게 맞춤형의 영화(‘1947보스톤’보다는 ‘더 퍼스트 슬램 덩크’같은 것)가 없는 것이 주요한 이유이기도 했지만 이들의 주머니가 텅텅 비어 있는 것, 거기에 물가는 천정부지의 수준이라는 것, 젠더 갈등의 심화로 남녀가 잘 만나지 않는 것, 마이너스 출산율에 따라 젊은 층이 현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 등등 정치사회 현상 모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더욱 큰 문제는 이건 빈곤의 악순환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니, 극장용 영화가 망하고 있는 것은 영화 탓이기도 하지만 사회 탓이기도 하다는 얘기이다. 그 솔루션은 두 가지 다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자, 어떻게 할 것인가. 1차적으로는 큰 극장에 들어 갈 영화의 경우 정교하게 구분해 지원해야 할 것이다. 젊은 층을 끌어 낼 수 있는 영화들, 결국 청춘물이나 애니메이션들이 돼야 할 것인 바 이럴 경우 결국 일본 ‘꼴’이 될 가능성이 높으니 여기에서도 단계적으로, 균형 있게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영화와 드라마 등등의 구별없이 콘텐츠라면 모두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새로운 감독과 제작자, 배우를 발굴할 수 있는, 산업저변까지 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큰 극장 시스템에 의존하는 정책은 버릴 때가 됐다. 독립영화 예술영화 작은 영화관, 개성있는 영화제에 집중하는 차별화된 정책을 펼쳐야 할 때이다. 이런 추세라면 체인 극장들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대기업 영화사의 수직계열화(배급사와 극장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것) 문제, 스크린 독과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단초이다. 전환기에 정책도 발상의 전환으로 맞서야 한다.

 

이 모든 것의 전제는 양적 확대이다. 영화와 문화산업의 성장을 위해서 지금은 돈을 풀 때이지, 선택과 집중이라는 허울 아래 돈을 묶을 때가 아니다. 그런데 유인촌 장관이 과연 그렇게 할까? 언감생심이다. 때문에 극장용 영화는 이제 곧 사망선고를 내려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 두려운 일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