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맑음동두천 20.7℃
  • 맑음강릉 22.0℃
  • 맑음서울 23.8℃
  • 맑음대전 19.6℃
  • 구름많음대구 21.9℃
  • 흐림울산 21.1℃
  • 구름많음광주 21.7℃
  • 흐림부산 21.5℃
  • 흐림고창 20.8℃
  • 구름많음제주 21.9℃
  • 구름조금강화 18.6℃
  • 맑음보은 16.1℃
  • 구름조금금산 17.3℃
  • 구름많음강진군 19.4℃
  • 구름조금경주시 22.0℃
  • 구름많음거제 21.3℃
기상청 제공

가계대출 억제 기조에 기업대출로 눈 돌리는 은행들

5대 은행 기업대출 잔액 796조 원
대구銀 시중은행 전환에 경쟁 심화 예상
연체율도 상승세…건전성 우려↑
"은행권, 비재무적 서비스로 기업 지원해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기조가 이어지면서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기업대출 확대에 나서고 있다. 기업대출 확보를 위한 은행들의 영업이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시중은행으로 전환된 대구은행도 참전하면서 경쟁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기업대출이 늘어난 만큼 기업들의 연체율 역시 높아지고 있어 건전성 우려가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금융사들이 경영난에 빠진 기업을 비재무적 서비스를 통해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의 기업대출 잔액은 796조 456억 원으로 전월(785조 1515억 원 대비 10조 8941억 원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8조 7891억 원)과 비교하면 증가세는 빠른 편이다.

 

올해 1월 6조 7000억 원 증가한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2월 8조 원, 3월 10조 원 이상 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기조에 따라 은행들이 기업대출 확대에 힘을 쏟은 결과다. 또한 지난해부터 대기업이 회사채 발행보다 금융기관의 대출을 선호하는 현상이 이어진 것과 한국은행의 자금중개지원대출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등과 맞물려 은행권의 기업대출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6일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획득한 대구은행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관계형 금융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계형 금융은 신용등급 등 정량적 수치 외에 현장방문 등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얻은 정성적·사적 정보를 이용해 대출 자격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문제는 대출 규모가 늘어남에 따라 연체율 리스크도 함께 커지고 있어 건전성 우려가 대두된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48%로 가계대출 연체율(0.37%)보다 높다. 특히 중소기업의 연체율은 지난 2년 사이 0.27%에서 0.58%로 두 배 이상 뛰었다.

 

5대 은행 중 3개 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이 1년 전보다 상승했다. 국민은행의 1분기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23%로 전년 동기 대비 0.07%포인트(p) 올랐다. 신한은행(0.34%)과 하나은행(0.3%)의 연체율 또한 같은 기간 각각 0.06%p, 0.04%p 올랐다.

 

고금리 기조와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조차 받을 수 없는 무수익여신 또한 늘었다. 5대 은행의 1분기 무수익여신 잔액은 3조 7586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7.3%(5553억 원) 늘었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상환 능력이 취약한 기업의 차입금 비중(57.4%)이 외환위기 때 고점(67.8%)보다는 낮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때 고점(34.1%)보다는 크게 높다”며 “2023년 하반기 이후 고금리가 지속되고 내수시장 침체가 진행형인 만큼 추가 악화 여부에 대해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중소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금융사들이 경영관리 등 비재무적 서비스를 통해 이들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주성철·안소영 우리금융연구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의 경영난은 주로 금융 및 재무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재무적 요인도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재무적 요인에 따른 중소기업 경영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은 다수 존재하나, 디지털 전환 지연, 인력 부족에 따른 경영관리 업무 부담 등 비재무적 요인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내에서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했으나, 사각지대에 놓인 회사가 많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업 범위 확대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며 "공공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과의 연계, 적극적인 홍보 등 지원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해 회색지대(Grey zone)을 좁혀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