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올해 1500명 교육을 목표로 시작한 ‘신규 배달종사자 교통안전 체험교육’ 수료자가 사실상 5%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민주·수원무) 의원이 21일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신규 배달종사자 교육추진현황’에 따르면 교육이 시작된 올해 8월부터 지난 20일까지 교육수료자는 총 80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당초 목표로 했던 1500명의 5.3%에 불과하다.
또 해당 교육의 대상은 신입 라이더인데, 신규 배달종사자라고 하더라도 고용보험에 가입된 라이더는 교육을 받을 수 없게 돼 있어 정책 설계 과정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교육을 신청하고도 실제로 교육을 받지 못한 인원은 55명에 달하며, 교육 당일 오지 않은 인원도 57건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당초 교육 장소를 공단 산하 화성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1곳으로 지정하고, 교육은 주말에만 실시하는 것으로 계획하는 등 ‘공급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교육 참여 저조 사태를 자초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이에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뒤늦게 파주의 한 민간시설을 빌려 추가로 주중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교육 참여율은 높아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다.
배달시장 규모가 지난 2020년 17조 원에서 지난해 26조 원으로 성장함에 따라 배달종사자 역시 급증하고 있는 만큼 라이더 사망사고 감축을 위한 실질적 안전교육체계 마련이 시급한 상태다.
염태영 의원은 “안전 문제는 신규 종사자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 대상자를 전체 라이더로 확대하고 교육장소를 늘리는 한편 교육 의무화 방안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