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3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2조 5000억 원 이상 늘어나며 2금융권 대출 증가세를 주도했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1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11월 가계대출 동향(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5조 1000억 원 증가했다. 이는 전월(6조 5000억 원)에 비해 증가폭이 축소된 수치다. 주담대는 4조 1000억 원 증가하며 전월(5조 5000억 원) 대비 둔화됐으나, 기타대출은 1조 1000억 원 증가하며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10월(3조 8000억 원) 대비 절반 수준인 1조 9000억 원으로 줄어든 반면, 제2금융권은 전월보다 5000억 원 늘어난 3조 2000억 원 증가했다.
2금융권의 주담대 증가폭은 2조 6000억 원으로 전월(1조 9000억 원)보다 크게 확대됐다. 기타대출 증가폭은 전월(8000억 원)보다 줄어든 6000억 원을 기록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권이 1조 6000억 원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보험(6000억 원), 여신전문금융사(6000억 원), 저축은행(4000억 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부채 동향을 분석했다. 회의에는 행정안전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등 관계 기관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와 주택거래 감소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됐다”며 “다만 금리 인하 가능성을 고려해 가계부채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향후 가계부채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머리를 맞댔다. 특히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현황에 대해선 철저히 살피기로 했다. 상호금융권의 경우 확보된 자금 여력을 주택 관련 대출 확대보다는 부실채권 정리와 손실 흡수 능력 확충, 서민·취약계층을 위한 중금리 대출 공급 등에 집중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금융사의 금리는 기본적으로 시장금리 흐름을 충실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면서 “가산금리 등 대출금리 산정체계를 점검하고 소비자에게 설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금융당국도 필요 시 이를 살펴볼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올해 12월 31일 일몰 예정이던 역전세 반환대출에 대한 규제 완화 조치를 내년 12월 31일까지 1년 연장하기로 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