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지난달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들어섰다. 인천의 고령인구비율은 17.7%로 전국 평균(20%)보다는 낮지만, ‘초고령 사회 인천’은 예정된 미래다.
군·구별로 보면 2024년 11월 말 기준 전국 평균보다 높은 곳은 강화군(38.8%), 옹진군(33.6%), 동구(27%), 미추홀구(20.4%) 등이다. 인천도 이미 절반가량 발을 내디딘 셈이다.
그만큼 노인 돌봄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인천시가 공공요양 인프라 구축에 팔을 걷었지만 아직 수요를 감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4월 체계화된 공공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남동구 도림동에 인천 최초의 시립요양원을 열었다.
16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연면적 2984㎡·지상 3층 규모로, 일반실 80병상, 치매전담실 24병상 등 104병상을 갖췄다.
일반실은 5월 2일부터, 치매전담실은 10월 18일부터 순차적 입소를 시작했다. 문을 열자마자 입소자가 넘쳤다.
시간이 지날수록 대기줄은 더 길어졌다. 현재 일반실은 473명, 치매전담실은 235명 등 모두 708명이 대기 중이다.
이용자가 빠져야 자리가 나는데, 이마저도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
시 관계자는 “아직 처음에 접수한 인원도 소화된 상태가 아니다”며 “중간에 대기 접수를 잠시 멈출지 고민했으나, 요양원에서 자리가 났을 때 전화를 돌리면 기존 시설에서 머무르겠다는 대기자들이 많아 계속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20~30명 전화하면 1명이 입소하겠다고 하는 수준이라 보이는 대기자 수보다는 많지 않다”면서도 “먼저 자리가 생겨야 해서 얼마나 기다려야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노인인구가 늘어나면 치매환자 수도 덩달아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인천연구원의 ‘치매전담형 노인요양시설 수요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의 65세 이상 치매환자 규모는 2015년 2만 8230명에서 2023년 4만 6871명으로 66.0% 증가했다.
치매환자에게 필요한 장기요양 입소시설 규모는 2025년 9219명, 2030년 1만 2696명, 2040년 2만 3185명, 2050년 3만 5496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봤다.
현재 계양구와 서구에 ‘공립 치매전담형 요양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시 최초의 치매전담형 시립요양원인 계양구 공립 치매전담형 노인요양시설은 사업비 223억 원을 투입해 치매전담실 96병상 규모로 건립된다. 지난해 5월 착공했으며, 내년 상반기 준공 예정이다.
반면 서구의 공립 치매전담형 요양시설은 첫 삽을 뜨지도 못했다. 당초 올해 하반기 준공을 목표했지만,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 사전행정절차를 거치면서 밀렸다.
이 시설에 들이는 예산은 258억 원으로, 노인요양시설·단기보호시설·주야간보호시설 등 202병상이 마련될 예정이다.
서구 관계자는 “사전행정절차를 밟으면서 일정이 밀렸다”며 “올해 3월 착공 예정이다. 준공은 착공일로부터 23개월 걸릴 예정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