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가 오는 13일 새로운 주가지수인 ’KRX TMI(Total Market Index)’를 공개한다. 이 지수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중 투자에 적합한 종목들을 유동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해, 국내 주식시장 전체를 포괄하는 종합주가지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일본의 ‘TOPIX’처럼 주식시장 전반을 아우르는 투자 지표로서, 코스닥 시장 우량주들의 재평가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는 KRX TMI를 통해 주식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새로운 시황 지수를 제공한다. 이는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는 종합주가지수와 유사하며, 실제 거래되는 주식 수를 기준으로 계산돼 더욱 유용한 투자 지표로 기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RX TMI는 종목이 상장된 시장에 관계없이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되므로, 그동안 소외됐던 코스닥 우량주들이 재평가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KRX TMI를 벤치마크로 하는 펀드가 늘어나면 코스닥으로 유입되는 자금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로 인해 코스닥시장이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특히 관리종목, 저유동성 종목, 거래정지 종목 등 지수 투자에 적합하지 않은 종목들은 제외된다는 점에서 기존 코스피, 코스닥 지수와 차별화된다. 이로 인해 KRX TMI는 2289개의 종목을 포함하게 되며, 이는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의 종목 수인 2604개보다 적다.
실제로 KRX TMI는 거래될 수 있는 유동 주식 수를 기준으로 지수를 산출해, 시장의 정확한 시황을 반영하는 지표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목의 시가총액을 계산할 때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보유 주식, 자사주 등 거래가 어려운 주식은 제외된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더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KRX TMI의 종목 수가 많아 펀드의 벤치마크로 활용될 때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현재 많은 펀드가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종목을 기반으로 벤치마크를 설정하고 있어, KRX TMI의 대규모 종목 수가 실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