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치 무드’가 조성된 듯 보였던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의 관계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도민 대의기관인 도의회는 그동안 집행기관인 도에 주요 도정현안·정책사업 논의를 함께 하는 ‘원팀’이 돼줄 것을 요청했지만 이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20일 도와 도의회 등에 따르면 도의회는 이날 열린 제382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경기주택도시공사 광교A17블록 공공주택사업 신규투자사업 추진동의안’과 ‘K-컬처밸리 복합개발사업 토지 및 아레나구조물 경기주택도시공사 현물출자 동의안’ 등 11건의 도지사 제출 안건을 상정하지 않기로 했다.
도의회가 이날 집행부 안건을 모두 상정하지 않은 데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소통 부재’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앞서 도의회 김진경 의장과 여야 교섭단체 대표의원들이 도의 핵심 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협의기구 구축 등 소통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피력한 만큼 김 지사 또한 의회의 요청을 반영할 것이란 기대가 컸다.
도의회 여야 대표들은 지난 11·12일 대표연설을 통해 사실상 운영되지 않는 ‘여야정협치위원회’를 대신할 새로운 협의체계를 구축하자고 김 지사에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가 지난 17일과 19일 공지한 ‘2025년도 제1회 특별조정교부금’ 배분계획,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 편성계획 수립 과정에서 도의회를 배제하면서 두 기관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도의회 여야 대표들이 김 지사에 직접 소통에 나서줄 것을 요청한 뒤 며칠 만에 의회가 이른바 ‘패싱’된 것이다.
이에 김 의장은 전날(19일) 성명을 내고 “도는 불통의 벽을 허물고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도의회와 머리 맞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장은 이날 취재진에 “도는 특조금과 추경안 계획 수립에 있어 도의회와 어떠한 협의도 하지 않았다”며 “도의회 여야 대표들이 올해 초 대표연설을 통해 민생과 협치, 소통을 강조했지만 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가 도의회와 아무런 상의도 하지 않으려는 모습은 납득하기 어렵다. 이런 일련의 과정 때문에 도의회 여야가 도지사 제출 안건을 상정하지 않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의회의 이번 결정으로 수천억 원 규모의 ‘K-컬처밸리 복합개발사업’과 ‘광교A17블록 공공주택사업’ 등 주요 개발사업이 제동이 걸리게 됐다.
이들 사업 동의안이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해야 실제 사업 추진도 가능한 구조로 김 지사를 비롯한 도 핵심 관계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의회와 갈등의 실마리를 풀지 귀추가 주목된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