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물포역 북측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계획’ 승인으로 당장 이주 걱정을 해야 하는 원주민들이 현실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1일 제물포청산자 철거민대책위원회는 인천시청 앞에서 생존권 쟁취 결의 대회를 열고, “인천시가 건설자본의 이익만을 대변하고 있다”며 “사유재산 반값보상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해당 사업은 시가 미추홀구 도화동 일원에 지하 4층~지상 49층 13개 동 아파트 3497세대와 근린생활시설 5개 동을 건립하는 내용이다.
보상과 이주를 거쳐 다음 해 하반기 아파트 건설이 착공에 들어가면 2031년 준공될 예정이다.
하지만 원주민들은 공공재개발 관련 단 한 차례의 제대로 된 주민설명회나 공청회가 열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강제수용법이 ‘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주민들의 권리를 뺏고 강제로 내쫓고 있다고 덧붙였다.
남경남 전국철거민연합 의장은 “재개발을 하면 원주민들의 재산은 반토막이 난다”며 “상가 세입자들의 영업권도 망가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 시가 재개발 허가를 남발했다”고 지적했다.
철거민대책위원회는 지난 2021년 발표된 ‘공공주도 3080+공급 대책’을 인용하면서 쓴소리도 했다.
이들은 “개발 기간 동안 세입자들을 위한 임시 주택을 마련하는 게 (3080 대책에)포함돼 있지만 실상 ‘쫓겨나지 않는 개발’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새로 3500세대를 짓고도 거기에 고작 공공임대주택은 15%만 짓는다”며 “고층 빌딩 높은 분양가 공급은 민간 개발 사업자들의 이익을 몰아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최근 감정평가 금액이 다 통지가 돼서 보상가를 높여 달라고 요구하시는 걸로 알고 있다. 이는 보상가를 주도하는 공공주택사업자인 인천도시공사(iH)가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행정절차에 대한 요청은 시가 이행할 수 있고, 또 향후 주민분들께서 간담회 등을 요청하시면 참석해 시의 입장을 말씀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