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맑음동두천 8.9℃
  • 맑음강릉 13.9℃
  • 맑음서울 10.4℃
  • 맑음대전 11.3℃
  • 맑음대구 12.5℃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0.2℃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0.7℃
  • 맑음제주 14.6℃
  • 맑음강화 9.1℃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7.8℃
  • 맑음강진군 10.0℃
  • 맑음경주시 14.3℃
  • 맑음거제 13.2℃
기상청 제공

尹 임기 내내 내리막…경기지수, 취임 초 고점 찍고 ‘4년 만에 최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임기 동안 한국 경제는 꾸준히 하향세를 걸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12월 불법 비상계엄 사태 이후 경기지수는 가파른 낙폭을 보이며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달보다 0.4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월 들어 0.1포인트 소폭 반등하긴 했지만, 석 달 연속 이어진 하락세에 비해 반등 폭이 미미해 경기 회복세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 관계자는 “동행지수는 2022년 9월을 정점으로 최근까지 지속적인 하향 추세”라며 “2월 반등도 일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동행지수는 광공업·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내수출하지수 등 7개 지표를 종합해 현재의 경기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5월 96.3까지 떨어졌던 지수는 재정 보강과 경제 회복에 힘입어 상승하다가, 2022년 9월 101.6을 기점으로 꺾였다. 윤 전 대통령 취임 후 불과 4개월 만이었다.

 

당시 경기동행지수가 하락세로 전환한 주된 이유는 반도체 불황이다. 광공업 생산지수(동행지표 구성지표)는 2022년 4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섰고, 이 추세는 2023년 2월까지 11개월간 이어졌다. 이후 반도체 업황이 다소 회복 조짐을 보이자 내수가 발목을 잡았다. 코로나 이후에도 소매판매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으면서 2023년 5월부터 8개월 중 6개월 이상 역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는 건설업 부진까지 겹쳤다. 건설기성액(동행지수 구성지표)은 지난해 4월 4.1% 감소한 뒤로 올 2월까지 11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동행지수를 지속적으로 끌어내렸다.

 

결정적인 하락은 지난해 12월 정치적 혼란이 극에 달했던 불법 비상계엄 사태 즈음부터였다. 10월만 해도 99를 웃돌던 동행지수는 이후 석 달 연속 0.9포인트 급락해 올해 1월에는 98.4까지 내려앉았다. 이는 팬데믹 초기였던 2020년 이후 4년 만의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경기 회복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한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지표 반등을 위해선 내수 진작과 산업 활력 회복이 선결 과제”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