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봄 이사철 수요와 금리 인하 기대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인한 집값 상승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다만, 정부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면서 향후 분양시장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8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전국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월보다 11.1포인트(p) 상승한 84.0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26.3p 오른 99.7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고, 비수도권도 7.8p 오른 80.6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이 22.6p 오른 108.3, 경기도는 27.3p 상승한 97.3, 인천은 28.8p 오른 93.3을 기록하며 전 지역에서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주산연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강남3구를 중심으로 시작된 집값 상승세가 수도권 주요 지역으로 확산됐고 봄 이사철 도래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비수도권도 다수 지역에서 분양전망이 개선됐다. 울산이 32.2p 상승한 93.3, 부산은 30.3p 오른 95.5, 전북은 17.5p 상승한 81.8, 충남은 12.3p 오른 92.3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강원(11.7p↑), 대전(10.5p↑), 세종(9.6p↑), 경남(9.2p↑)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일부 지역은 하락세를 보였다. 제주(-7.4p), 충북(-6.0p), 전남(-6.0p), 광주(-3.9p), 대구(-0.8p)는 분양심리가 악화됐다. 전남은 올해 3월까지 분양이 전무했고, 4월에도 예정된 물량이 없어 2022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인 58.3을 기록했다.
주산연은 “지속적인 인구 감소와 지역경제 회복 지연이 장기적인 주택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로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조사는 정부가 최근 발표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내용을 반영하기 전 이뤄진 것이다. 지난달 말 국토교통부는 강남3구와 용산구를 다시 허가구역으로 지정했고,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 일대는 1년 연장됐다. 서울 숭인동, 창천동 등 모아타운 5개 지역도 새로 허가구역으로 지정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이번 허가구역 확대 지정이 분양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편,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2.2p 오른 105.1을 기록했다. 주산연은 “국제정세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 인상 우려로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 가능성이 커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보다 17.6p 하락한 96.7로 나타났다. 강남3구 집값 상승세가 주변으로 확산될 것이란 기대감, 지방 대출규제 완화 등으로 수요 회복이 예상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LH가 4월부터 신청받는 지방 미분양 아파트 3000호 매입 정책과, 올해 분양 물량 감소도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