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소방서가 고층 건물 화재 시 시민의 안전한 대피를 돕기 위해 완강기 사용법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에 나섰다.
완강기는 화재 등 위급 상황 발생 시 건물 외벽을 통해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돕는 필수 장비로, 사용법을 정확히 숙지하지 않으면 오히려 위기를 키울 수 있어 사전 교육과 관심이 절실하다는 게 소방당국의 설명이다.
현행법상 아파트나 숙박시설 등 고층 건물(3층~10층)에는 각 층마다 완강기 1개 이상 또는 간이완강기 2개 이상이 설치돼야 하며, 다중이용업소의 경우 2층부터 설치가 의무다.
완강기는 여러 사람이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 완강기’와, 한 번 사용 후 재사용이 어려운 ‘간이 완강기’로 구분된다.
안성소방서는 올바른 사용법도 함께 안내하고 있다. 기본 절차는 ▲창문을 열고 지지대 설치
▲속도 조절기와 후크를 연결 ▲지지대에 후크를 걸고 나사로 고정 ▲릴(줄)을 아래로 떨어뜨리기 ▲가슴 높이에 안전벨트를 착용 후 고정 ▲창문에 걸터앉아 벽면을 짚으며 천천히 하강 순이다.
신인철 안성소방서장은 “완강기 사용법은 알고 있는 것과 실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것은 다르다”며 “위급 상황에서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장비인 만큼, 평소 위치 확인과 사용법 숙지를 통해 누구나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