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시스템에어컨 제조에 물리 발포 성형을 도입해 연간 4400톤 이상의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게 됐다. 친환경 공법과 소재 개선으로 ESG 경영 강화에 나선다.
LG전자(대표 조주완)는 상업용 시스템에어컨에 친환경 공법을 적용해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개선으로 연간 플라스틱 사용량 약 270톤, 이산화탄소 배출량 약 4400톤(tCO₂eq)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은 시스템에어컨 실내기 외관 판넬 제작에 ‘물리 발포 성형’ 공법을 적용한 점이다. 이는 질소 가스를 주입해 내부에 기포를 생성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용량을 절감하는 방식으로, LG전자는 기존 ABS 소재 대신 탄소배출이 적은 PP(폴리프로필렌)를 활용해 1대당 약 900g의 플라스틱을 줄였다.
이 제품은 글로벌 인증기관 TUV 라인란드로부터 1대당 14.85kgCO₂eq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검증받았다. LG전자는 해당 공법을 6월부터 상업용 4방향 시스템에어컨에 적용 중이며, 향후 주거용 및 상업용 신제품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절감량은 30년생 소나무 숲 580개 축구장 규모가 1년 간 흡수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으로, LG전자의 ESG 비전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 실천의 일환이다.
배정현 LG전자 ES사업본부 SAC사업부장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제조 공법과 친환경 냉매 적용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환경 경영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54.6%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인버터 기술과 R32 냉매 적용 등 고효율·저탄소 가전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