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박진 전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 대한 진정 및 긴급구제 신청을 부당하게 기각했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2일 박 전 사무총장은 오후 1시 38분쯤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했다. 그는 '김용원 상임위원 겸 군인권보호관(차관급)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내용이 나왔는데 그게 기각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당시 저희는 갑자기 바뀐 모습 때문에 굉장히 의아함을 느꼈다"고 대답했다.
또 "나중에 통화를 한 사실이 밝혀지고 나서 그런 이야기들이 있었다"며 "저 통화가 결국은 태도를 바꾸게 한 거 아니냐는 이야기들이 좀 있기는 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진정 및 긴급구제 신청건이 당시 전원위원회에 상정되지 않고 김 상임위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군인권소위에서 기각된 것에 대해 "김 상임위원이 상임위에 상정하는 것 자체를 원치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쟁점은 기자회견까지 자처하며 의욕을 보였던 모습이 왜 180도 달라졌는지가 아닐까 싶다"며 "그 사실에 대해 특검팀에서 모두 이야기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김 상임위원은 지난 2023년 8월 9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 검찰단의 채 상병 사건 수사자료 회수 조치를 비판하는 성명을 내는 등 진상규명 의지를 보였다가 돌연 입장을 바꿨다. 같은 달 14일 군인권센터가 제기한 박 대령에 대한 진정 및 긴급구제 신청건도 기각했다.
특검팀은 해당 건이 접수된 당일 김 상임위원이 이 전 장관과 통화하면서 입장을 바꾼 것이라 의심하고 있다. 이에 박 전 사무총장을 상대로 군인권소위가 박 대령에 대한 진정 및 긴급구제를 기각한 전후 상황을 세밀하게 확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민영 특검보는 브리핑을 통해 "권위 사무총장은 소위원회 회의에 들어가진 않지만, 사무처 관련 모든 사항을 최종적으로 관장하고 본인이 당시 벌어진 일들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입장"이라며 "김 상임위원 고발의 배경이 되는 사실관계에 대해 두루 확인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전날 박광우 전 인권위 군인권조사국장 직무대리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고, 이번 주 중 군인권보호국 소속 조사관들도 소환할 예정이다. 또 이날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사건기록 회수 관여 의혹과 관련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으로 3번째 소환해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