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가 기관인데요" 보이스피싱 피해 2030 가장 취약…'정교해진 수법' 주의 필요

"등기 전달 안됐다" 등…진짜같은 사이트 가짜 서류 제시
"기관사칭 범죄 심리적으로 지배 전략…맞춤형 수법 늘어"

 

최근 기관 사칭 보이스피싱의 주요 범행 대상이 '2030 청년층'에 집중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8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52%는 2030 청년층이었다.

 

특히 최근 범죄조직이 가상자산을 노리기 시작하면서 1억 원 이상 피해자 중 2030 비율은 작년 7~12월 17%에서 올해 1~4월 26%, 5~7월 34%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건당 피해액은 작년 1~8월 4218만 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7438만 원으로 76.3% 증가했다.

 

2030 청년층이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에 취약한 이유는 이들 세대가 비대면 금융환경과 가상자산 투자 등에 익숙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범죄 조직이 정교한 시나리오와 범행 수단을 바탕으로 피해자를 철저히 통제하고 고립시키는 전략을 사용하는 점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경찰 소개 시나리오에 따르면 이들은 자신들이 경찰청 수사관이라고 소개하면서 "등기를 보냈는데 전달이 안됐다", "IP주소를 보낼테니 접속해서 내용 확인하라"와 같은 수법으로 접근한다.

 

이후 피해자가 실제로 접속하게 되면 마치 범죄에 연루된 것처럼 꾸며진 문서와 구속영장을 보여줘 아무도 없는 곳으로 이동하게 하고 원격제어 앱 설치를 종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구속 위기에 처해있다는 점을 빌미로 협박을 이어가고 거액 이체를 요구해 편취하는 수법으로 범행을 이어가고 있다.

 

경찰청이 든 사례와 같이 범죄 조직들은 진짜처럼 꾸며진 사이트와 피해자 인적 사항이 적힌 가짜 서류를 제시, 실제 범죄에 연루됐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또한 보안을 핑계삼아 증거 인멸이 용이한 시그널·텔레그램 등을 이용하도록 지시하기도 한다.

 

국수본은 관계자는 "자영업자에게 국세청을 사칭하거나 교포, 유학생을 상대로 대사관 직원을 사칭해 마약 사건에 연루됐다고 속이는 등 피해자 맞춤형 수법도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기관사칭형 범죄는 피해를 심리적으로 지배하는 전략을 사용한다"며 "범죄 수법과 대처 방법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방승민 수습기자 ]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