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바이러스제가 재발 위험이 높은 거대세포바이러스(CMV) 앞포도막염의 재발률을 60% 낮추고, 각막 내피세포 손실 억제에도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진아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안과 교수와 김민호·박명희(이하 압구정성모안과) 원장, 이지영 대전성모병원 안과 교수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거대세포바이러스 앞포도막염으로 반복적인 재발을 겪는 환자 136명(압구정성모안과·성빈센트병원)을 대상으로 점안 및 경구 항바이러스제 치료 효과를 27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재발 억제와 예후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거대세포바이러스 앞포도막염은 거대세포바이러스(CMV) 감염으로 포도막 앞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충혈, 통증, 눈부심, 안압 상승 등이 나타나며, 재발이 잦아 각막 내피세포 손상과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기존에는 면역저하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면역이 정상인 환자에게도 앞포도막염 형태로 발생한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급성 앞포도막염에 비해 재발이 잦은 편이나 재발 빈도 및 양상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환자들의 연평균 재발 횟수는 항바이러스제 치료 전 2.87회에서 치료 후 1.16회로 약 60% 감소했다. 특히, 경구 항바이러스제를 초기부터 투여한 환자군은 점안 항바이러스제 투여군보다 각막 내피세포 손실 억제 효과가 더 뚜렷했다.
최진아 교수는 “앞포도막염 환자 중 잦은 재발과 높은 안압, 각막 내피세포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호 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적극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거대세포바이러스 앞포도막염의 재발 억제와 예후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안과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는 SCI급 국제학술지 'Ophthalmology(IF=9.5)'에 게재됐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