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김수진 교수 연구팀이 심정지 후 소생환자의 혈압 유지 목표치를 규명해 심정지 후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의 근거를 제시했다.
심정지는 심장이 멈춰 혈액이 돌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심폐소생술(CPR)과 자동제세동기(AED)로 맥이 돌아와도 전신에 큰 영향을 남기기 때문에 소생 후에도 정밀한 중환자 치료가 필요하다.
국제 학계에서는 평균 동맥압(MAP) 60~65mmHg 이상 유지를 권고하지만 최적 목표치에 대한 근거는 부족했다.
이에 김수진 교수 연구팀(교신저자 김수진, 1저자 이시진)은 고려대 안암병원으로 이송된 성인 비외상 심정지 후 24시간 생존 환자 291명의 데이터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했다.
초기 심전도 리듬, 심폐소생술 소요시간, 혈압, 치료중재, 동반질환, 심정지 원인, 연령과 성별 등 다양한 요인을 함께 고려했다.
연구 결과, 소생 직후 처음 6시간 동안의 혈압 유지가 특히 중요했으며 평균 동맥압이 약 80mmHg일 때 뇌 기능 회복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가장 컸다. 80mmHg보다 낮거나 높아도 예후는 불리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혈압 유지 적정 수치와 중점 관리 시간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면서 향후 가이드라인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마련했다.
또 연구에서는 초기 심전도에서 제세동 가능 리듬이었던 경우 심폐소생술 소요시간이 짧았던 경우가 좋은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목격 심정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심장성 원인에서의 조기 재관류 등 여러 요인도 예후에 영향을 미쳤다.
김 교수는 “제세동 가능 리듬과 일반인 심폐소생술 제공은 주요 요인으로 재확인됐다”며 “맥박이 돌아왔다고 치료가 끝나는 것이 아니며, 전문적인 병원 치료가 뇌 기능 회복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