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공공의료 확충·인력양성 위해 국회·지자체·의료전문가·시민단체가 뜻을 모았다.
지난 26일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에서 ‘인천 공공의료 확충과 인력양성을 위한 국회 토론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토론회는 인천지역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11명과 '공공의료 강화와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범시민협의회(이하 범시민협의회)'가 공동 주최했다.
인천의 공공의료 강화 및 필수의료 인력 양성 방안으로 ‘인천대학교 공공의과대학’ 설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인천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해 범시민협의회, 교육부, 인천시 관계자, 보건의료 전문가, 인천대학교 총학생회, 시민 등 약 7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공공의료의 지역 격차 해소와 의료인력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이 집중 조명됐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인천지역 의원들은 “현 정부 역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국정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법적 근거 마련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천 공공의료 확충과 공공의대 설립이 국정과제에 반영되도록 국회 차원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종면·맹성규·유동수·이훈기·허종식 의원은 "인천의 공공의료 강화는 수도권 내 의료 불균형 해소뿐 아니라 인천시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국회의원으로서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과제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 좌장은 이준한 인천대 기획부총장이 맡았으며, 발제자로 나선 이용갑 재능대 초빙교수는 ‘지역·필수 공공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인천지역 대응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인천의 열악한 의료 인프라를 지적했다.
이 교수는 “2022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의료기관 근무 전문의 수는 서울 142명, 광주 146.4명, 부산 124.3명, 대전 119.8명인 반면, 인천은 81.6명에 불과하다”며 “인천은 도서·접경지역이라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어 감염병, 항공·해상재난 전문의 양성 등 지역맞춤형 인력 양성이 필수적”이라고 목소리를 높혔다.
첫 토론자로 나선 최현석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과장은 “지역별 의료격차 해소는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한 주제”라며 “인천의 의료 여건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보건당국과 함께 의료환경 개선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송기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보건의료위원장은 “인천은 의료서비스 취약지로 지적되어 왔지만 아직 개선이 미비하다”며 “공공의대 설립이 감염병 및 재난 대응 의료체계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마지막 발언자로 나선 홍진배 인천대학교 국제대외협력처장은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은 인천과 대한민국의 건강한 내일을 여는 길”이라며 “이번 국회 토론회를 통해 모인 시민과 전문가의 뜻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인천지역 국회의원, 인천시, 범시민협의회, 보건의료계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정진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