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월 지급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시민의 체감 경기 회복에 뚜렷한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식료품 등 생활 필수 업종에 사용이 집중되며 소상공인 매출 회복에도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수원시정연구원은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시민패널 355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해 유효 표본 806명의 응답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수원시민의 97.2%가 소비쿠폰을 신청해고 대부분 신용·체크카드 형태로 지급받았다. 사용처는 대중음식점(47.7%)과 마트·식료품(22.9%)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체감 효과도 높았다. 응답자의 73.3%는 '생활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으며 특히 고용주·자영업자(94.3%), 미취학 자녀 가구(82.2%), 1인가구(79.6%), 40대(78.1%), 월평균 가구소득 200만 원 미만 가구(76.1%)에서 긍정평가가 두드러졌다.
자영업자의 반응도 주목되는데 쿠폰 사용처를 운영하는 자영업자의 37.3%가 매출 증가를 체감했다. 이 가운데 30~50% 미만 증가가 45.6%로 가장 많았다.
박민진 수원시정연구원 데이터분석센터 연구위원은 "이번 결과를 단순히 일회성 효과로만 보기는 어렵다"며 "코로나19 이후 위축된 소비심리 속에서 소비쿠폰이 시민들의 소비 여력을 키우고 자영업 매출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적 장치로 작동했다"고 평가했다.
김성진 수원시정연구원장은 "시민 체감도와 소상공인 매출 회복 효과가 동시에 확인됐다"며 "앞으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생활 밀착형 지원책을 정교하게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