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6.7℃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3℃
  • 맑음대전 8.7℃
  • 맑음대구 9.5℃
  • 맑음울산 10.0℃
  • 맑음광주 8.7℃
  • 맑음부산 11.7℃
  • 구름많음고창 8.2℃
  • 흐림제주 11.4℃
  • 맑음강화 6.4℃
  • 맑음보은 7.8℃
  • 구름조금금산 8.9℃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은행 창구서도 타행 계좌 한눈에…오픈뱅킹 대면 서비스 시작

고령층·비대면 취약계층 금융 접근성 개선
11개 은행 오픈뱅킹·8개 은행 마이데이터 참여

 

앞으로 은행 영업창구에서도 다른 은행 계좌를 조회하고 이체할 수 있게 된다. 인터넷·모바일뱅킹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나 가까운 곳에 주거래은행 점포가 없는 지역 주민들의 금융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19일부터 온라인에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과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전국 은행 영업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오픈뱅킹은 농협·신한·우리·기업·국민·하나·아이엠·부산·광주·전북·경남은행 등 11개 은행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마이데이터는 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광주·전북·기업은행 등 8개 은행이 참여한다.

 

오픈뱅킹은 2019년 금융결제원을 중심으로 구축된 공동 인프라로 간편결제·송금, 자산관리 서비스 등 핀테크 산업의 핵심 기반이다. 금융 마이데이터는 이용자의 자산 현황과 금융거래 내역을 한곳에서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2022년 본격 도입됐다. 하지만 두 서비스 모두 그동안 웹·모바일 등 비대면 방식으로만 제공돼 디지털 취약계층의 접근이 쉽지 않았다.

 

금융위는 영업점 축소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금융 소외가 심화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제도와 전산 시스템을 정비해 이번 대면 서비스 확대를 추진했다. 이에 따라 한 은행 점포에 방문해도 여러 은행의 계좌를 통합 조회·이체할 수 있고, 개인별 금융 성향을 고려한 맞춤형 상품 추천 등 자산관리 서비스도 제공된다.

 

전국 은행 점포는 2019년 6709곳에서 올해 5625곳으로 16.2% 감소했다. 금융위는 이번 조치가 고령층·저소득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서비스 이용 편의를 크게 높이고, 영업점 폐쇄로 발생한 금융 공백을 일정 부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은행 영업점 현장을 찾은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맞춤형 안내와 홍보를 통해 많은 국민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은행권이 적극 협조해달라”며 “포용적 금융 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시행 이후 제도 운영 상황을 지속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공혜린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