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올해 지표오염원이 유입돼 지하수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지하수 방치공’을 본격 정비하는 원상복구사업을 올해 말까지 완료한다.
23일 경기신문 취재결과 지난 5월~12월까지 지하수 오염을 차단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선정된 방치공 11공에 대해 복구공사를 추진한다.
시는 2025년 5월부터 12월까지 선정된 방치공은 지하수 개발·이용 후 관리 부족으로 우물구조물 붕괴, 지표오염물질 침투, 안전사고 위험을 제거한다.
특히 해당 방치공은 그동안 시민 안전과 지하수 관리 부문에서 개선 요구돼 왔다.
이번 사업에는 총 1억 5000만 원이 투입되며, 도비와 시비가 각각 50%씩 부담한다.
복구 절차는 ▲주변 환경검토 ▲지하수 불용공 현황 및 재원조사 ▲공내 이물질 제거(소독 등) ▲투수성 자갈·재료 투입 ▲불투수성 재료 주입 ▲지표부 표면 및 주변 정리를 실시 한다.
원상복구 의무자가 불분명하거나, 이행보증금 활용이 어려운 경우 시에서 직접 복구조치를 진행한다.
광주시는 2025년 5월 방치공 조사를 위한 보전관리 감시원을 채용, 지난 6~7월에는 방치공 등록 및 미등록 현장을 조사를 완료했다.
또 8~10월에는 복구 대상 통지와 토지사용 동의서 징구 등 사전 절차를 마무리했다.
시는 2025년 12월 말까지 방치공 원상복구 공사 착공 및 준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현장 정비에 들어갈 예정이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복구사업은 오염 가능성이 높은 방치공을 제거해 지하수 오염을 예방과, 시민 생활환경을 개선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어 “농촌·산지 등 방치공이 분포한 지역은 지하수 사용 의존도가 높아 이번 정비는 장기적 수질 보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산된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