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내년 7월 검단구 출범을 앞두고 임시청사 확보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23일 시에 따르면 유정복 시장은 최근 서구 당하동 1325 일원 공사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내년 상반기 입주 목표에 차질이 없도록 관리에 나섰다.
시는 지난해 제정된 ‘제물포구 등 설치법’에 따라 검단구 신설이 확정된 이후 시·구 합동 전담조직을 꾸리고 임시청사 확보와 신청사 건립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해 왔다.
임시청사 부지는 LH·IH 협조를 통해 무상 임차가 가능하고 검단소방서·검단우체국 등 공공시설과 인접한 점이 고려돼 선정됐다.
임시청사는 모듈러 임차 방식을 적용해 조성되고 있다. 시는 설계·토지 임차·기반공사 등을 포함한 전체 공정률을 약 50% 수준이며, 내년 1분기 준공, 2분기 입주라는 당초 계획이 현재로서는 무리 없이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모듈러 방식은 기존 가설 건축물보다 비용이 1.5~2배가량 적고 시공 기간이 짧다는 점이 채택 배경이 됐다. 시는 임차 기간을 오는 2031년까지 확보했으며, 신청사 준공 일정에 따라 연장도 가능하도록 계약을 체결했다.
검단구 출범 후 주민들이 가장 먼저 느낄 변화는 행정 접근성 개선이다. 현재 서구 청사는 지역 남측에 위치해 검단 주민들이 이용하는 데 불편이 컸지만, 지역 중심부에 청사가 들어서면 민원 처리 속도와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한다.
시는 다만 생활 SOC 불균형과 조직 이원화 등 출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과제에 대해선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해야 할 과제로 보고 있다.
이에 시는 내년 상반기 임시청사 확보 후 단계별 조직 이관을 추진해 행정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서구와 협력해 검단구 개청 전 조직 기반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있다”며 “검단구가 2026년 7월 정상 개청할 수 있도록 모든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정진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