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환경·안전·물 복지 분야의 핵심 정책 방향을 시민들에게 알렸다.
23일 시에 따르면 최근 서구 검단생활SOC복합청사 대회의실에서 ‘환경·안전 친화도시 인천’을 주제로 내년 주요업무보고회를 열고 내년 핵심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회는 지속 가능한 환경정책과 안전망 강화, 안정적 물 공급 등 분야별 추진 전략을 시민에게 설명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했다.
환경국은 인천이 2045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시민 주도형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확대해 나간다. 이를 위해 ▲다회용기 사용 확산 ▲생활환경교육 강화 ▲지역 환경문제에 대한 시민참여형 해결 방안 등을 추진한다.
또 서구에 전국 유일의 환경 특화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조성해 R&D와 제조 기능이 결합된 첨단 생산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승기천·굴포천·장수천·공촌천·나진포천 등 5대 하천은 자연생태하천으로 복원해 시민 휴식공간으로 돌려줄 방침이다.
아울러 시는 미세먼지 저감, 소규모 사업장 대기개선 지원 등 대기환경 개선 사업도 지속 확대한다.
시는 지난 10여 년간 유엔 지속가능발전 혁신상 TOP5 선정, 광역단체 최초 환경교육도시 재지정 등 환경 분야에서 성과를 이뤄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민안전본부는 계절·지역·계층 특성에 맞춘 맞춤형 안전정책을 추진해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주요 정책은 ▲365일 재난대응 체계 강화 ▲폭염·폭우·한파 대응 사계절 안전시스템 운영 ▲도서지역 및 취약계층 보호체계 강화 등이다.
특히 대형 지하상가 재난 대응 시뮬레이션 시스템 도입, 집중호우 대비 중용량포 방사 시스템 구축 등 현장 중심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시는 재난관리평가 전국 최우수, 안전한국훈련 우수기관 선정 등 안전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인천상수도사업본부는 ‘인천하늘수’의 품질 고도화를 위해 2030년까지 4대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최고 품질의 수질 안전성 확보를 위해 내년까지 취·정수시설 211건 개량과 노후관 220km 교체해 가정까지 깨끗한 수돗물이 도달하도록 할 방침이다.
도서지역의 식수 기반 확충도 이어진다. 북도면 배급수관망 구축을 비롯해 울도(2026년), 백령도(2027년) 해수담수화시설 설치가 추진된다. 비상상황 대비를 위해 영종·강화 송수관로 복선화, 정수장 간 비상연계 관로 구축 등 급수 안정성 확보에도 나선다.
유정복 시장은 “환경·안전·물 복지는 시민의 삶에 가장 직접적이면서도,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라며 “인천은 지난 10여 년간 환경·안전·물 복지 분야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성과를 만들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정진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