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왜곡 조작 사업인 동북공정(東北工程)은 주변국, 특히 우리의 역사를 말살하는 작업이다. 역사가 말살된 나라에 미래는 없다. 그런 차원에서 중국이 우리의 ‘김치 종주국’ 위상을 무너뜨리려는 행태는 심각한 사태다. 일과성 해프닝으로 치고 넘어가기에는 중차대한 문제다. 경각심을 갖고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중국의 역사침략, 문화침략을 수수방관하면 대한민국의 존재감은 머지않아 사라질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최근 중국 인민일보의 자매지 환구시보는 현지 매체를 인용해 쓰촨(四川)의 ‘파오차이(泡菜)’가 김치의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았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지난해 6월부터 파오차이의 국제표준화에 본격적으로 나섰고, 최근 ‘ISO 24220 김치 규범과 시험방법 국제표준’으로 인가를 받았다. 김치는 흔히 ‘침채(沈菜)’라..
지난밤에 찬비가 내리더니 갑자기 날씨가 추워졌다. 출근길을 달리는 자동차가 온통 빨간 단풍잎에 덮여 있다. 자세히 보니 그런 자동차가 몇 대나 지나가는 것이다. 어떤 차는 노란 은행잎을 뒤집어쓴 채 달리고 있었다. 그야말로 단풍잎 자동차와 은행잎 자동차이다. 그 잎을 미처 털어내지 못한 운전자가 왜 그런지 멋지게 보인다. 아마도 단풍나무 아래 세워둔 자동차에 잎이 떨어지며 물기로 착 달라붙었나 보다. 아침 길에 자동차 몇 대가 지나가며 보여준 아름다운 광경이었다. 그동안 빛 고운 단풍을 자랑하더니 이제는 잎이 다 떨어져 앙상한 나무를 본다. 나무가 많은 곳에선 나뭇잎이 떨어질 때 낙엽 쓸기가 큰일이다. 날마다 경비 아저씨는 낙엽을 쓸고 계셨다. 집 밖을 나가고 들어올 때마다 경비 아저씨의 낙엽 쓰는 모습이 안쓰러울 지경이었다. 나는 음료수를 건..
퇴근 길에 시장바구니를 들고 장 보는 소탈한 ‘엄마 리더십’으로 알려진 독일의 메르켈 총리. 지난 11월로 총리에 오른지 15년이다. 메르켈은 16년간 재임한 헬무트 콜(1982~1998년)에 이어 역대 독일 총리중 두 번째 최장수다. 그런데 지난달 현지 공영 방송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독일 국민들은 메르켈에게 74%의 지지를 보냈다. 코로나 위기로 인한 ‘결집효과’가 일정부분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15년의 장기 집권속에 특히 코로나가 본격화하기 시작한 3월 시점에 동일한 여론조사에서도 53%가 나왔다고 하니 그녀의 저력이 놀랍다. 우리 역대 대통령들이 임기 초반 70~80%대의 지지율로 정점을 찍고나면 퇴임 시점에 0~30%대로 추락하는 것과 대비된다. 집권 4년차의 문재인 대통령은 지지율이 50% 안팎으로 그나마 선전하고 있다. 메르..
본보에 게재된 박재동 화백의 만평에 대한 일부 언론들의 무차별 비난이 도를 넘고 있다. 특히 만평에 대한 객관적인 견해를 훨씬 넘어서는 작가에 대한 인신공격성 언급들은 언론이 범해서는 안 될 고약한 일탈이다. 이런 행태들은 ‘표현의 자유’는 물론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거나 통제하려는 비민주적인 인식의 잔재를 엿보게 해 씁쓸하다. 누구보다도 기본권적 자유를 존중해야 할 언론들의 이런 보도 태도는 반드시 개선돼야 할 구태다. 중앙일간지를 포함한 다수의 언론이 지난 23일부터 본보에 연재되고 있는 박재동 화백의 만평 ‘박재동의 손바닥 아트’의 일부 내용을 걸고넘어지고 있다. 시비가 걸린 만평은 지난 26일자 본보 1면에 게재된, 최근 대립하고 있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모습을 풍자한 그림이다. 만평은 지난 국감에서 윤..
지난 11월 23일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이 있는지 10년이 되는 날이었다. 지금도 그 때의 기억이 생생하다. 백주대낮에 북한의 포탄이 면사무소와 주민 가옥 근방에 떨어져 폭발하던 장면을 방송을 통해 보면서 연출 장면이 아닌 실제 현실이라는 걸 알고서 무척 당황스럽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하였다. 연평도 포격도발은 1953년 7월 휴전협정 체결이후 북한이 무력으로 대한민국 영토에 공개적으로 포사격을 한 첫 사례로 그동안 빈번하게 있었던 비무장지대나 서해 해상분계선 일대 지역에서 발생한 도발과는 의미가 다르다. 당시 우리 군은 북한의 기습적인 도발에 군장병과 민간인 사상자와 주택 파괴 등 피해를 보았지만, 북한의 포격도발에 원점타격식으로 단호하게 대응하여 북한군에게 심각한 피해를 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0년전 남북관계는 이렇듯 남과..
추록자 불견산(追鹿者不見山)이란 고사성어가 있다. 사슴을 쫓는 자는 산을 보지 못한다는 말이다. 숲속에 까마귀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까마귀는 몹시 목이 말랐다. 그는 물을 찾아 나섰다. 오랜 가뭄으로 마실 물이 보이지 않았다. 까마귀가 타는 목마름으로 사방구석을 헤매고 다니는데, 마침 사람이 살지 않는 폐가를 발견했다. 마침 까마귀의 눈에 띄는 게 있었다. 주둥이가 긴 항아리 하나가 무너진 담장 아래 비스듬히 누워 있는 게 보였다. 까마귀는 얼른 항아리 쪽으로 날아갔다. 그 속에 물이 있는 것을 알았다. 까마귀는 항아리 주둥이에 대가리를 집어넣었다. 그러나 항아리 속의 물은 그의 주둥이가 닿기엔 너무 멀었다. 까마귀는 양발을 버틴 채 모가지를 항아리 주둥이 속으로 밀어 넣었다. 그래도 물은 마실 수가 없었다. 까마귀는 온몸을 밀어 넣으며 버..
오늘은 날씨가 유난히 추웠다. 아마도 올들어 최고로 차갑게 느껴진 공기가 아니었나 싶다. 게다가 마음의 한기는 더욱 심하다.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힘든 이들의 얘기는 춥다 못해 가슴을 저리게 한다. 소위 예술을 하는 사람들의 사정은 단순히 심각한 정도가 아니다. 당장의 먹고 사는 문제가 아니라, 근근히 유지해왔던 업장(?)마저 쫓겨나다시피 정리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니 앞으로의 생계까지 걱정되는 형편이다. 어쩔 도리는 없고, 그저 한숨만 나온다. 지켜보는 일조차 이토록 버거운데, 당사자들이야 오죽하겠는가.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을 내야 한다. 지난 날은 돌이킬 수 없지만, 내일은 분명 기약할 수 있으니 말이다. 서론이 길었다. 지역 예술의 구심점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다보니 자연스럽게 그들의 모습이 떠올랐던 까닭이다. 아모쪼록 모두가 함..
어느새 김장철이다. 올해는 비가 두 달 동안이나 왔기에 배추 농사가 잘 안되었다고 한다. 작년에는 친정에서 배추 농사를 많이 지어서 우리 김장도 같이하였다. 올해는 배추도 조금 심고 흉년이라서 따로 김장하였다. 쪽파와 마늘 무는 친정에서 가져왔다. 젓갈은 멸치액젓과 봄에 소래 포구에서, 직접 사다 담은 새우젓이 맛있게 발효되었다. 생새우와 홍갓, 청각에 싱싱한 생굴과 꼴뚜기와 한치는, 돼지고기 수육과 함께 배추쌈을 먹기 위해 사놓았다. 예전 같으면 배추를 절이는 일이 큰일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절임 배추를 예약하여 사서 하니까 참으로 편하다, 시골에서 농사를 지어 싣고 오면, 아파트까지 운반하고 다듬고 절이는 일도 힘들었다. 배추를 절이면서 벌써 허리가 아팠다. 이제는 김장도 많이 하지 않으니 정말 편해졌다. 김장하는 날짜에 절임 배추를 예약..
집값 상승과 공시가격 반영비율 상향이 겹치면서 급격히 오른 종합부동산세(종부세)에 대한 논란이 거세다. 국세청 발표에 따르면, 올해 종부세 대상은 74만4천 명으로 작년보다 25.0%(14만9천 명)나 늘어났다. 납부세액도 작년보다 27.5%(9천216억 원)나 증가한 4조2천687억 원이나 된다. 종부세 제도의 취지는 살리되 충격을 완화할 제도보완책은 검토해야 한다. 현실성 있는 섬세한 규정으로 정부의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과된 종부세액이 가장 많은 곳은 역시 서울로 2조6천107억 원이다. 주택분만 작년 8천297억 원에서 올해 1조1천868억 원으로 43% 급증했다. 다음으로 주택분 종부세 납부대상자가 많은 곳은 경기도다. 14만7천 명에게 2천606억 원이 고지됐다. 작년보다 대상자는 25.6%, 세액은 38.8%가 올랐다. 일반적으로 종부세는 다주택..
나라건 기업이건 누가 그 집단의 리더로 있느냐에 따라 운명이 달라진다. 리더십은 역사의 흐름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미 대통령선거가 조 바이든의 승리로 끝났다. 뒤늦게 미 연방 총무청이 당선을 공식 승인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는 깨끗한 승복이 아니라 소송을 이어갈 모양새다. 강대국의 리더십 부재가 우려스럽다. 패자가 선거 결과에 승복하는 메시지를 내놓는 미국의 전통이 124년 만에 깨졌다. 리더 한 사람이 민주주의를 얼마나 망가뜨릴 수 있는가를 보여준 사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예측할 수 없는 환경변화를 가져왔다. 어느 때보다도 세상이 공감하는 리더십이 절실할 때가 아닌가. 우리는 어떤가. 최근의 정치판을 들여다보면 과연 리더십이 존재하고 있는가를 의심케 한다. 리더십은 지도자의 의무와 책임을 말한다. 모든 환경에 들어맞는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