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신문은 8일 신임 대표이사로 김세환 전 CBS 상무를 선임했다. 최선욱 전 대표이사는 부회장으로 승진 발령됐다. 경기신문 김 신임 대표이사는 한양대를 졸업하고 1988년 CBS에 입사해 총무부장, 마케팅본부 국장, 경영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리얼TV와 코엠이노베이션에서 부사장을 지냈다. 김 신임 대표이사는 이날 경기신문 사옥 1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기신문 대표이사 이·취임식'에서 "제가 가진 역량을 쏟아 부어 경기신문이 경기도를 넘어 대한민국 중심 언론으로 자리 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다짐했다. 이어 "지역 사회를 위한 따뜻한 기사를 발굴해 '경기신문이 진짜 필요한 언론사'임을 국민들에게 알려나가겠다"라면서 "경기신문이 '우리는 하나다'라는 원팀의 정신을 가진다면 어떤 외부적 환경에도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을 확신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앞으로도 기본에 충실하면서 언론사로서의 역할과 뉴미디어를 담아내는 플랫폼의 역할을 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배덕훈 기자 ]
◇ 승진 최선욱 대표이사/사장 命 경기신문 부회장 ◇ 취임 김세환 命 경기신문 대표이사 /사장 ◇ 전보 ▲이화우 편집국 지역사회부 남양주 담당 국장 命 편집국 지역사회부 남양주/구리 담당 국장(겸직) ▲정영선 편집국 정치부2부(서울)부장대우 命 편집국 지역사회부 여주/이천 담당 부장대우 ◇ 신규 ▲예나 命 편집국 문화체육부 기자(뉴미디어 담당) <이상 11월 8일字>
◇ 승진 ▲고태현 편집국 사회부 부장대우 命 편집국 사회부장 ▲유연석 편집국 온라인 이슈대응팀장 命 편집국 문화체육부장대우 ▲오재우 편집국 경제부 기자 命 편집국 경제부 영상팀장 ◇ 전보 ▲신연경 편집국 문화체육부(문화부 담당)기자 命 편집국 사회부 기자 ▲김민기 편집국 사회부 기자 命 편집국 문화체육부 문화부 담당 기자 ▲김기현 편집국 사회부 기자 命 편집국 문화체육부 체육부 담당 기자 ▲김도균 편집국 문화체육부(체육부 담당)기자 命 편집국 사회부 기자 ▲박환식 편집국 정치부 기자 命 편집국 정치2부(서울) 기자 <이상 11월 1일字>
▲ 이수미(하남 풍산초교 교사)씨 별세, 나윤배씨 부인상, 나상훈씨 모친상, 이재훈(KBS 공채 16기 개그맨)·이철훈(JYP엔터테인먼트 중국지사 대표)씨 누님상 = 23일,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6호실, 발인 25일 오전 7시 20분, 장지 안성 유토피아추모관. ☎ 02-3010-2000
◇신규 ▲강수원 命 편집국 수습기자 ▲모지현 命 경리부 사원 <7월 19일字>
◇ 승진 ▲김대정 지역사회부 하남주재 부국장 대우 命 지역사회부 하남주재 부국장 <7월 12일字>
◇ 신규 ▲최태용 命 인천본사 편집국 차장 <7월 5일字>
◇ 승진 ▲이화우 지역사회부 남양주 주재 국장대우 命 지역사회부 남양주 주재 국장 ▲김혜정 편집국 편집부 차장대우 命 편집국 편집부 차장 ◇신규 ▲이지숙 命 편집국 편집부 차장 ▲이환석 命 편집국 편집부 기자 6월 28일字
경기신문이 창간 19주년을 맞아 '임직원 윤리 실천 선언식'을 개최했다. 경기신문 최선욱 대표이사 사장 및 임직원은 14일 오전 경기신문 본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윤리 실천 선언식에서 '정직하고 바른 신문', '사람을 존중하는 신문', '정보 전달자의 책임을 다하는 신문'이라는 사시에 걸맞은 언론이 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윤리강령을 준수할 것을 다짐했다. 윤리 강령에는 ▲언론의 자유와 독립 ▲사실과 진실 보도 ▲개인의 명예 존중과 사생활 보호 ▲취재원 보호 ▲차별 금지 ▲올바른 정보 수집과 사용 ▲독자의 반론권 보장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번 선언식은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준수해 경영지원실, 편집국, 인천본사 등 간부급 임직원만 참여했다.
코로나19로 앞당겨진 4차 산업혁명 시대, 국가 주요 의제로 떠오른 '기본소득'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짚어보고 토론하는 세미나가 15일 오후 2시부터 비대면으로 개최됩니다. '세계 기본소득의 실증 사례와 전망'을 대주제로, 3개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집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주최 : 고려대 정치연구소, SSK 불평등과 민주주의연구센터, 경기신문 후원 : 한국연구재단 사회 : 심흥식 (경기신문 논설주간) 주제 : 공유부 기반 기본소득 사례(알래스카 및 스위스)와 시사점 발표 : 정원호 경기연구원 기본소득단 선임연구위원 토론 : 서정희 군산대 교수 주제 : 경기도 기본소득 (청년기본소득 및 재난기본소득) 실증 결과 및 시사점 발표 : 유영성 경기연구원 기본소득단 단장/선임연구위원 토론 : 이관형 정치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주제 : 프랑스 기본소득의 실험과 전망 발표 : 최인숙 고려대 정치연구소 교수 토론 : 안효상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상임이사 회의링크 : https://us02web.zoom.us/j/891887845599 회의 ID : 891 8784 5599 (암호 : 036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