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1 (토)

  • 흐림동두천 25.4℃
  • 흐림강릉 27.3℃
  • 흐림서울 27.2℃
  • 대전 24.8℃
  • 대구 26.7℃
  • 흐림울산 29.3℃
  • 광주 26.3℃
  • 흐림부산 29.7℃
  • 흐림고창 26.9℃
  • 제주 27.1℃
  • 흐림강화 26.4℃
  • 흐림보은 25.3℃
  • 흐림금산 25.2℃
  • 흐림강진군 25.7℃
  • 흐림경주시 27.9℃
  • 흐림거제 29.0℃
기상청 제공

[농업칼럼]최규홍"농촌 일손부족 대응과 밭작물 기계화"

 

이맘때 농촌은 1년 중 가장 바쁘다. 보리 수확에다 마늘, 양파 등 밭작물 수확에 모내기까지 겹쳐 인건비를 올려도 일손 구하기가 쉽지 않다. 65세 이상 되는 농업인이 3명 중 1명. 우리 농촌은 이미 고령화됐다

농촌노동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농작업의 기계화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이앙기, 콤바인 등을 이용하는 벼농사는 완전 기계화돼 다행이지만 밭농사가 걱정이다. 근래 들어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곡물 이외의 채소, 과일, 잡곡 등으로 다양화되고 그 소비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은 작은 밭에서 인력으로 파종하고 수확된 것 들이다.

우리나라 밭농사 기계화율은 현재 약 50% 수준이다. 더욱이 지난 10년 동안 약 4% 증가에 그치며 밭농사 기계화 발전은 정체 상태다. 가장 큰 문제는 제일 힘들고 일손을 많이 필요로 하는 파종작업의 기계화율은 4%, 수확은 12% 수준에 불과해 아직 인력 의존도가 높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외국으로부터 수입해 사용할 만한 밭농사 농기계도 마땅치 않다.

밭농사 기계화율이 이렇게 낮은 데는 우선 농가의 85% 이상이 0.3ha 이하의 소농 규모로 농기계 구매력이 취약하고, 산업체는 소량·다품목인 밭농사 농기계 생산에 소극적이라는데 있다. 농기계는 무엇을 생산하느냐에 따라 기종과 규격이 달라진다. 우리나라 농업은 작물수가 많고 기후와 지형이 다양해 트랙터를 제외한 나머지 기종은 매우 다양한 반면 소량이 공급된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밭 필지규모가 작고 경지 정지율이 낮아 기계화 기반도 미흡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기계 임대사업의 활성화다. 소농 구조인 우리 농촌의 실정을 감안할 때, 현재 역점을 두어 추진 중인 정부의 농기계 임대사업은 밭농사 기계화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볼 수 있다. 지역별 주요작목에 해당하는 농기계를 구입하고, 그에 맞는 농작업 기계화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기계화에 맞춘 재배법 보급과 농가 교육 홍보 강화다.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재배양식과 작목이 다양해 종류별로 제약 없이 농기계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즉 농기계의 범용성과 이용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다. 밭작물의 기계화가 대중화됐을 때를 대비해 그에 맞춘 재배법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와 더불어 기존의 재배방법을 고수하려는 농가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한 교육 또한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셋째, 정부의 지속적인 R&D 지원이다. 밭농사용 농기계는 중소업체에서 주도적으로 생산되므로 연구개발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들의 연구 활동과 실용화 기계 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R&D 지원은 꼭 뒷받침돼야 할 부분이다. 민간 투자가 어려운 R&D라면 정부가 투자하고, 민간이 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산업체는 생산되고 있는 기종의 모델수를 축소하고 부품의 통일을 이뤄 농기계 생산의 규모화에 동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해외시장진출에 대한 노력이다. 국내 시장이 언젠가는 한계점에 도달할 것을 고려해 개발도상국 실정에 맞는 연구개발 투자와 현지 수출거점 확보를 위한 조치가 동반돼야 한다. 현재 해외농장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는 대기업과 협력해 현지 작물에 맞는 농기계의 개발·공급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밭 경지정리 등 밭 기반 정비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 밭작물은 필지면적이 적고 경사지가 많으며, 필지가 분산돼 있는 등 기계화 여건이 불리하다. 더욱이 농기계가 이용된다고 해도 좁은 필지와 경사지에서는 기계화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농업이 1차 산업을 넘어 6차 산업으로의 첨단 기술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지금, 농업기계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정부는 2016년까지 밭작물 기계화율을 65%로 높이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고 효율적인 농기계 사용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임을 밝혔다.

지역별 재배 농가를 조직화하고 임대방법을 재정비해 밭농사 기계 수요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갈 때,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농업인들이 농촌에서 오래도록 소중한 꿈을 키워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