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이 국내 입국 이후의 국정원 조사기간 동안 직원의 언행에서 두려움이나 불안을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하나원 교육 시 무시를 당하는 기분이 들었다는 응답자도 26%에 달했다.
7일 경기도가족여성원이 지난해 4~9월 북한이탈주민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권침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7.3%가 조사기간에 대한 안내를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특히 43.1%는 국정원 조사기간 동안 직원의 언행에서 두려움이나 불안을 느꼈고, 직원 태도에 대해서는 44.6%가 ‘무시하는 것 같았다’고 응답했다.
국정원 조사 기간에 대해서는 15.6%가 ‘너무 길어서 힘들었다’고 답했다.
또 21.8%는 하나원 직원으로부터 ‘무례한 언행을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고, 교육 시 ‘무시하는 기분이 들었다’는 응답자도 26.0%에 달했다.
이들은 하나원 교육 과정의 개선사항으로 의료나 심리적 지원(56.5%), 사생활 존중(39.5%), 교육내용 개선(38.1%), 교육기간 단축(34.9%), 인격적 존중(17.1%) 등을 꼽았다.
입국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98.3%가 제3국을 경유했으며 경유국가는 중국(93.9%), 태국(43.5%), 캄보디아(13.7%) 순이었다.
입국 직전 거주시설은 수감시설(불법이민수용시설)이 43.7%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교회(17.0%), 대사관(14.9%), 영사관(9.3%) 등이었다.
입국 대기기간 중 4명 가운데 1명은 몸이 아파도 진료를 받을 수 없었고, 8.1%는 직원으로부터 폭언이나 욕설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 및 사회생활에 있어서는 47.7%는 북한출신이라는 이유로 취업에서 불이익이나 불공정한 대우를 경험했고, 남한사람보다 임금을 적게 받았다는 응답자도 25.5%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40.2%는 북한출신인 것을 숨기고 싶어 했다.
남한 정착 후 18.8%는 사기를 경험했고, 사기를 당한 이유에 대해서는 63.9%가 자신이 북한사람이라서라고 응답했다.
연구원은 “탈북민에게 일방적인 적응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같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함께 변화에 적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사회적 인식 제고, 인권교육 지원, 하나원 교육 및 국정원 조사과정 개선, 의료지원 강화, 입국대기 북한이탈주민 지원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