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로 경기지역의 실질 GRDP(지역내 총생산) 증가율이 오는 2040년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8일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위원이 발표한 ‘저출산·고령화의 사회경제구조 분석 및 정책방안’에 따르면 오는 2035~2040년 경기도 합계 출산율은 1.47명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2010~2015년 1.31명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나 현재 인구 규모 유지에 필요한 대체 출산율 2.1명에 비해 낮은 것이다.
주요 저출산 원인은 자녀 교육비와 양육비, 사교육비 부담, 고용 불안정, 높은 주택비용 등이 꼽혔다.
이 기간 도내 베이미부머는 157만명 115만 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을 것으로 분석됐다.
결국 저출산·고령화는 노동력 부족에 따른 생산경제 하락과 노년부양비 증가로 이어져 2010년 8.7%이던 실질 GRDP가 2030~2040년 4.1%로 절반 이상 추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설비투자와 민간소비 증가율도 2016~2020년 각각 6.3%, 3.8% 수준에서 2030~2040년 5.0%, 2.7% 수준으로 떨어진다.
GRDP 대비 도의 세입 역시 2016~2020년 5.5%, 2030~2040년 4.3%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유영성 연구위원은 “도 고령화 정책은 예산 비중이 지나치게 한 곳에 집중돼 사업간 균형 조치가 필요하고, 시·군간 차별적 특성을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