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소득·교육수준 낮을수록 식품 불안감 크다

경기硏, 안심식탁 먹거리 정책방향 보고서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식품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층일수록 안전 먹거리를 구입할 경제적 능력이 낮고, 식품안전정보 이해도가 낮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연구실 박은진 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의 ‘안심 식탁을 위한 먹거리정책 방향’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식품안전 인식조사 결과를 기초로 작성됐다.

조사 결과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39.1%)이 사회전반에 대한 불안(35.4%)보다 높았고,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이 컸다.

소득별 식품 불안감을 보면 월 가계수입 100만원 이하 저소득층 52%가 식품 불안을 느끼지만 6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36%만 불안하다고 답했다.

이는 저소득층일수록 친환경농산물 등을 얻기 위한 기회가 적고, 경제적 능력이 부족해 상대적으로 저가의 수입식품과 유해식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교육 수준별로도 중졸 이하 저학력층은 56.1%가 식품 불안을 느끼고 있는 반면 대졸 이상은 35.4%만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소득·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식품정보 역시 확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 위원은 ‘식품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 생산에서 식탁까지 식품안전의 일관성·전문성·효율성을 갖추도록 제안했다.

또 식품업체 영업조건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나 등록제로 전환하고, 위해식품 적발에 대한 감시와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