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당초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에 652개 사업 7조3천948억원의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이 가운데 각 부처를 거치며 83% 수준인 619개 사업 6조1천562억원만 반영돼 기획재정부로 넘어갔다.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이날 새누리당 정책위에 국비 지원 협조를 요청한 도정 현안 대부분이 이 과정에서 삭감된 SOC 사업 관련 예산이다.
경기북부의 교통정체 해소 및 균형발전을 위한 구리~남양주~포천 민자고속도로 사업은 2017년 개통을 위해선 내년까지 보상비의 95%를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도가 요청한 5천604억원 가운데 3천억원만 반영, 보상비율이 74% 수준에 그쳐 사업 지연이 우려되고 있다.
또 수도권 교통정체 해소를 위한 제2순환고속도로 화도~양평 구간 내년도 사업비 1천700억원을 요청했으나 10분의 1 수준인 171억원만 확보됐다.
하남선 상일~검단산 복선전철비 1천50억원, 별내선 암사~별내 복선전철비 500억원은 각각 700억원과 300억원으로 반토막 났고, 진접선 당고개~진접 광역철도는 요청액 700억원은 검토중이란 의견만 달렸다.
인덕원~수원(100억원), 월곶~판교(27억원) 복선전철과 지하철 7호선 의정부·양주 연장(도봉산~옥정, 10억원)을 위한 국비 요청액은 전액 미반영됐다.
양촌산업단지와 학운산업단지 등 6개 산업단지가 연결된 국지도84호선 초지대교~인천 구간 공사를 위한 국비 요청액 역시 30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감액됐다.
장마철 집중호우 등에 대비하기 위해 지방하천정비사업비 1천382억원을 요청했으나 610억원만 반영됐고, 평택 삼성 고덕산단(746억→452억원)과 LG 진위2산단(103억→15억원)은 61%, 15% 수준으로 각각 삭감됐다.
광역버스 좌석제 시행으로 버스를 증차하면서 운송업체가 입은 손실액 보상비 58억원은 전혀 반영돼지 않았다.
도 관계자는 “도의 주요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하기 위해선 국비 확보가 절대적이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 국회의원들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국비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에 도의 운명이 걸려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은 9월 정기 국회에서 심의·의결된다./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