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1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동사한 빨간 장미 다발

 

동사한 빨간 장미 다발

                                   /김금용



누가 던졌을까

살얼음 진 강물 속에서 동사한

얼어서 더 싱싱하게 빛을 뿜는

칼바람 속 유혹



저 장미는 나르시스에 빠졌을지 몰라

그대의 간절함이 고드름으로 매달려도

담 너머 지나가는 짓궂은 바람일 뿐이라고

어리석은 오만의 가시만 키웠을지 몰라



어디에도 꽂을 수 없었겠지



파묻어도 꼿꼿이 일어서는 언 강의 기억

차단된 얼음 속에 보관한 걸까



얼어서 더 붉고 싱싱하게 살아나는 장미다발

누가 던졌을까

- 현대시학 (2016년 4월호)

 



 

어떤 철학자가 말했지. ‘올바르게 보려면 두 번 봐라, 아름답게 보려면 한 번만 봐라’. 시는 직관의 산물이다. 물론 천착하고 천착하려면 몇 십번이라도 볼 수 있겠지만, 어떤 모티브에 의한 시상의 포착은 단 한 번의 직관으로 충분하다. 시인은 살얼음 진 강물에 던져진 꽃다발을 보는 순간 시적 아름다움의 핵을 낚아챈다. 얼어서 더 선명한 꽃의 유혹에 이미 포섭당한 시인의 마음은 이미 장미다발에 포개져 장미의 심상이 된다. 그리고 제 스스로 나르시스에 빠져 오만의 가시를 키우며 아무에게도 꽂을 수 없는 도도한 인격체가 된다. 그건 바로 우리 시인들 모두의 운명 아닐까? 세상이라는 강물에 내던져졌지만 우리는 거기 빠져 허우적거리는 게 아니라 동사한 감각적 층위와 인지적 층위를 최대한 깨워 얼어서 더 붉고 싱싱한 시의 꽃다발을 엮어내는 게 아닐까? 누가 던졌을까. 이 시의 다발을. 얼음 속에 보관하다가 언젠가는 발아할 시의 맹아(萌芽)를. /이정원 시인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