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나라의 동량으로서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이 건강하고 밝고 슬기롭게 자라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교육이다. 지식도 중요하지만 육체가 무럭무럭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제대로 된 음식을 제공해야 한다. 아이들을 굶기지 않고 고른 영양섭취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학교 급식이 중요한 이유다. 지난해 12월 16일 도의회는 경기도 친환경 학교급식 등 지원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학교급식’이라곤 했지만 ‘무상급식’이다. 이로써 앞으로 매년 도지사가 친환경학교급식 지원계획을 수립, 초·중학교 급식경비를 교육감이나 시장·군수에게 지원하게 된다.
12월 20일자 본란에서도 언급했지만 이 조례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지난 2011년 김문수 도지사 시절 도의회 민주당과 갈등을 겪었다. 민주당은 재정이 어려운 시·군에서도 무상급식 비용의 50~70%를 지원한다며 무상급식을 요구했지만 김문수 지사는 “학교급식은 교육청에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 기본 생각”이라며 거부했다. 지난 2014년 2월에도 새누리당과 도의 반대로 본회의 상정이 보류됐다. 이번에 조례안이 본회의를 통과하고 1천33억 원이 학교급식 지원예산으로 편성된 것은 이 내용이 남경필 지사의 정치 실험인 ‘경기연정(聯政)’ 합의문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도는 조례 제정에 이어 2018년까지 친환경 학교급식으로 공급되는 도내 농식품 공급비율을 전체의 70%로 확대키로 했다. 현재 도내 농식품 학교 공급량은 1만1천347t인데 이는 전체의 63% 수준이다. 학교급식 참여 학교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천915개교(학생 수는 137만8천여 명)다. 그러니 학교에 공급되는 농식품 매출액도 어마어마하다. 도에 의하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 말까지 매출액은 1천21억원이었다고 한다. 학교 공급 농식품 양을 늘리는 만큼 도내 농가들의 소득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는 그동안 도내 농식품 비율을 꾸준히 늘려왔다. 2015년 59.6%, 2016년 63%였는데 올해 66%, 내년 70% 등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한다. 아울러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 ‘2017년 친환경 학교급식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우선 학교 주요 사용 농산물을 집중 육성하고 재배기술 교육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 경기미 학교급식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100%까지는 아니더라도 학교급식에 들어가는 거의 모든 품목이 도내에서 생산되는 만큼 농민의 소득과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최대한 도내 친환경 농식품 비중을 높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