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6.4℃
  • 구름많음강릉 27.6℃
  • 맑음서울 26.9℃
  • 구름많음대전 26.5℃
  • 구름많음대구 26.3℃
  • 구름많음울산 26.5℃
  • 구름많음광주 27.0℃
  • 흐림부산 25.7℃
  • 구름많음고창 26.1℃
  • 흐림제주 24.3℃
  • 맑음강화 26.5℃
  • 구름많음보은 25.3℃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7.2℃
  • 구름많음경주시 27.8℃
  • 흐림거제 24.5℃
기상청 제공

김선교 의원 "푸드테크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농업 혁신 시대를 열어야"

 

김선교 국회의원, "푸드테크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농업혁신 시대를 열어야"

  푸드테크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푸드테크산업의 육성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 '대표발의!

 

푸드테크 산업의 체계적 육성과 지원을 할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양평여주)은 식품산업에 첨단기술을 융합해 농식품산업의 혁신상장을 견인할 '푸드테크산업의 육성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지난 7일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미래 유망 新 산업으로 주목되고 있는 '푸드테크(Food-Tech)'는 식품(food)과 기술(tehnology)이 융합복합된 분야로서, 식품산업에 인공지능(AI), 로보틱스,정보통신기술,바이오테크(BT)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식품의 생산, 제조,가공,유통,소비에 이르는 전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최근 식품 소비트렌드가 환경.건강중시,개인맞춤형 소비, 비대면 활성화 등으로 변화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글로벌 환경문제와 식량안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으로 푸드테크를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미래농업의 황금알'로 불리는 푸드테크는 청년 일자리창출,농식품 수출확대 등 우리경제의 발전과 우리농업과 식품산업의 상생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고 있어 농업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22년 말, 정부도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해 관련기업에 대한 지원및 인력양성 및 안전관리 기준 마련 등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세우려 하고 있으나 푸드테크 관련 법제도적 기반이 없어 체계적인 육성과 지원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김선교 의원은 푸드테크산업의 체계적인 육성및 지원에 관한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푸드테크 관련 창업 확대및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을 활성화시키고 식품산업과 첨단.혁신기술의 융복합 기반을 마련코자 '푸드테크산업의 육성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로 발의했다고 밝혔다.

 

김선교 의원은 "그동안 푸드테크 산업은 성장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크지만 관련 법제도적 기반이 없어 산발적으로 사업들이 이루어지고 사업성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면서 "미국과 유럽연합(EU)와 같이 푸드테크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함으로써 푸드테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푸드테크 산업을 통해 농업혁신 시대를 열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한편 한국 농촌경제연구원과 농업분야 연구기관 GS&J에 의하면 2020년 국내 푸드테크 시장규모는 약 61 조원으로 전체 식품.외식.유통 시장의 10%에 해당되며 전 세계 시장규모는 약 5542억 달러(약 665조 원)으로 2017-2020년까지 연평균 38% 이상의 고성장세로 추정된다.

 

[ 경기신문 = 김영복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