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형 과학고가 1단계 예비지정 단계로 접어든 가운데 예정에 없던 '심층 질의' 단계를 심사과정에 추가하며 잡음이 일고 있다. 과학고 추가 설립을 두고 끊임없이 반대 목소리가 나오는 와중이라 엎친데 덮친격이라는 평가다.
28일 경기신문 취재에 따르면 지난 26일 경기도교육청은 경기형 과학고 설립을 위한 1단계 예비지정 단계에 심층 질의, 즉 면접 단계를 추가하며 심사 기간을 연장했다.
심층 질의는 비대면 온라인 면접으로 진행되며 설립·운영·교육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 7명이 교육지원청, 지자체 담당자들을 상대로 세부 질의를 진행한다.
이에 당초 이달 말 발표 예정이었던 1단계 예비지정 결과 발표는 12월 초로 연기됐다. 예비지정 연기에 따라 추후 2단계 특목고 지정 및 심의와 3단계 교육감 지정 및 고시도 연기, 약 2주 뒤로 모든 일정이 미뤄지게 됐다.
하지만 이처럼 공모 절차를 마친 후 심사 과정이 추가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인 만큼 공모 지침 위반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심층 질의 과정이 추가된다는 사실을 과학고 유치 공모에 참여한 지자체들에게 통보했을 뿐 사전 동의 절차 역시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일부 지자체들은 갑작스러운 심사 과정 추가에 난색을 표하고 있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예비지정을 위해 제출한 서류 외에도 추가된 심층 질의 면접을 위한 추가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도교육청은 "평가지표나 평가항목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기에 문제가 없다"면서도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신속히 보완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논란에 더해 경기형 과학고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경기지역 교육·시민사회단체 70여 개로 구성된 특권교육저지경기공동대책위원회는 과학고가 사교육을 부추기고 학교 간 서열화를 야기한다며 강경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과학고 추가 설립 발표 이후 꾸준히 경기형 과학고가 지방자치단체에 설립, 운영 예산을 떠넘긴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공대위는 "지자체의 부담도 커지고 예산 역시 편중돼 대다수 일반 학생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교육경비는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고양시, 광명시, 구리시, 용인시, 화성시, 성남시 등 12개 지자체가 1단계 예비지정 공모에 신청하며 과학고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지자체간 과열양상을 띠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는 만큼 경기형 과학고 설립 진행에 경기지역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