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소속의 지방의원인 양우식(비례) 운영위원장의 발언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 일동(경기신문·경기일보·경인방송·경인일보·기호일보·뉴스1·뉴시스·연합뉴스·인천일보·중부일보·OBS)은 26일 양 위원장에 대한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양 위원장이 지난 19일 도의회 운영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의회사무처에 반언론적 지시한 것에 더해 자신에 대한 논란이 ‘왜곡됐다’고 변명하는 방식으로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자단은 이날 양 위원장을 향해 “공식 석상에서 자신이 한 발언조차 책임지지 않고 뻔뻔한 태도로 왜곡만 일삼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어 지난 25일 양 위원장이 배포한 입장문 내용에 대해 언급하며 “입장문을 통해 ‘사실관계, 왜곡여부와 무관하게 논란이 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힌 양 위원장은 어떤 부분이 틀렸고 왜곡됐는지 상세하게 설명하라”고 질타했다.
기자단은 “오히려 이 입장문이 사실관계와 무관하고 유감스러운 왜곡이다. 논점을 흐리고 물타기”라며 양 위원장이 자신의 논란의 본질을 흐리는 등 문제를 회피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양 위원장은 대표의원 연설과 의장의 개회사가 보도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각 언론사 홈페이지에는 관련 보도가 고스란히 남아있다. 왜 마치 언론사들이 일제히 보도하지 않은 것인 양 몰아가는가”라고 물었다.
한편 양 위원장은 19일 온라인 생중계가 이뤄지고 있는 도의회 운영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임채호 의회사무처장에게 “회기 중에 의장님의 개회사, 양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익일 언론사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 제한하십시오”라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기자단은 양 위원장이 도의회 직원들에 각 언론 홍보비 집행내역을 가져오라고 다그치고 자신이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는 자료를 모아오라고 지시하는 와중에도 입장문을 통해서는 ‘공정하고 투명한 언론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나가겠다’고 밝히는 겉과 속이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이번 사태 이후 도의회 의장과 사무처장, 심지어 같은 당인 국민의힘 대표의원까지 사과의 뜻을 밝혔음에도 정작 당사자인 본인은 적반하장 태도로 뻔뻔함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자단은 “도민의 선택을 받지 않은 채 국민의힘의 선택으로 연고도 없는 경기도에 와 언론을 사유화하는 비례대표 운영위원장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며 “양 위원장은 언론 고유의 감시자 역할을 붕괴시키려는 초유의 사태에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양 위원장이 진심으로 이번 논란이 확산되지 않길 바란다면 제대로 된 해명 없이 궁색한 변명만 늘어놓을 게 아니라 당장 그 자리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아래는 경기도의회 기자단 성명서 전문.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 성명서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은 공식 석상에서 자신이 한 발언조차 책임지지 않고 뻔뻔한 태도로 왜곡만 일삼는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 비례)을 규탄한다.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으로서 지난 의회사무처 업무보고에서의 발언이 사실관계, 왜곡여부와 무관하게 논란이 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전날 양우식 의원이 낸 입장문이다. 적반하장도 유분수라 했다. 오히려 이 입장문이 사실관계와 무관한, 유감스러운 왜곡이다. 논점을 흐리고 물타기할 게 아니라 사실관계가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틀렸는지, 왜곡된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왜곡됐는지 상세하게 설명하라.
생중계되는 의회운영위원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한 발언이다. 의회 홈페이지 영상회의록을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그 영상은 ‘충격적 발언’이라는 부연과 함께 경기도의회 관계자들에게 아직도 전파되고 있다.
“전후관계를 생략하고 문제 삼는 것은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라는 양 의원의 말 또한 말 그대로 왜곡이다. 논란이 된 ‘1면 발언’ 직전 양 의원과 임채호 사무처장의 대화는 이와 전혀 관련 없는 내용이었다.
“회기 중에 의장님의 개회사, 양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익일 언론사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 제한하십시오.”
언론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나온 오만하고 언론 탄압적인 발언에 어떤 전후 관계가 있었나. 특정 보도를 요청하고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주겠다는 양 의원의 발언은 명백한 언론 자유 침해다.
도의회 출입기자단은 그동안 의장과 양당 대표를 비롯한 154명의 의정활동을 도민에게 알리고, 지방자치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언론의 역할을 다해왔다.
양 의원은 대표의원 연설과 의장의 개회사가 보도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각 언론사 홈페이지에는 관련 보도가 고스란히 남아있다. 왜 마치 언론사들이 일제히 보도하지 않은 것인 양 몰아가는가.
결국 본인 입맛에 맞는 기사가 나가지 않은 것을 운영위원장이란 직위를 이용해 '도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핑계를 대며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것 아닌가.
양 의원은 입장문에서 ‘운영위원장으로서 더욱 공정하고 투명한 언론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나가겠다’고 했다.
그래서 각 언론사의 홍보비 집행내역을 가져오라고 직원들을 다그치고, 자신이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는 자료를 모아오라고 사무처에 지시했나.
또다시 그동안 했던 것처럼 도민 혈세인 홍보비를 이용해 언론을 탄압하고, 입맛대로 주무르기 위한 것 아닌가.
이번 사태 이후 경기도의회 의장과 사무처장, 심지어 같은 당인 국민의힘 대표의원까지 사과의 뜻을 밝혔음에도 정작 당사자인 본인은 적반하장 태도로 뻔뻔함을 유지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은 도민의 선택을 받지 않은 채 국민의힘의 선택으로 연고도 없는 경기도에 와 언론을 사유화하려는 비례대표 운영위원장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
양 의원은 언론 고유의 감시자 역할을 붕괴시키려는 초유의 사태에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양 의원이 진심으로 이번 논란이 확산되지 않길 바란다면 제대로 된 해명 없이 궁색한 변명만 늘어놓을 게 아니라 당장 그 자리에서 사퇴하라.
|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