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1일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뒤 일주일 간 이뤄진 거래 규모가 거래 금지 직전 한달 치 보다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공매도 재개로 외국인들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미국의 관세정책 발표에 외국인들은 6조 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4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거래금액은 6조 4082억 원, 일평균 거래 규모는 1조 2816억 원이다.
이는 금융당국이 공매도를 금지한 2023년 11월 6일 직전 한 달 간(10월 4일~11월 3일) 공매도 일평균 거래액(7884억 원)보다 많은 금액이다. 공매도 재개 후 일주일 간의 거래액 규모는 약 63% 증가했다.
투자자별로 보면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90%, 코스닥에서 87%를 차지하며 했다. 기관의 비중은 코스피 9%, 코스닥 12%로 나타났다.
당초 공매도 재개로 외국인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던 시장의 기대와 달리 외국인들은 지난 한 주 동안 코스피에서 5조 8625억 원어치를 팔았다. 2021년 8월 이후 4년 7개월 만에 최대 매도치로, 그 결과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는 3.62% 하락했다. 공매도 재개 이후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표되면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증시가 떨어졌음에도 공매도 수익률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해야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지만, 주 타깃인 이차전지주가 4일 반등했기 때문이다.
지난 2일 기준 공매도 보유잔고 상위 종목은 LG에너지솔루션과 셀트리온,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순이다.
이들 종목의 공매도 평균 단가와 4일 종가를 비교하면 LG에너지솔루션 0%, 셀트리온 –2.47%, 에코프로비엠 –7.45%, 포스코퓨처엠 –6.28% 등이다. 다만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7.93%와 4.59% 등 수익권으로 추산된다. 코스피와 코스닥 공매도 상위 10개 종목의 수익률은 평균 -1.69%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