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게’로 유명한 연평도가 폐통발로 인한 악취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옹진군 연평어장에 봄어기 꽃게 조업이 시작되면서 폐통발은 더 쌓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당장 이를 모두 처리하기엔 상황이 녹록지 않다.
21일 연평면사무소에 따르면 최근 매드라까리~아리까리 구간 나무들에 가려져 무단방치된 폐통발 3600개를 어촌계 및 선주 등이 협력해 5일에 걸쳐 수거·처리했다.
그물에 걸린 꽃게가 썩으며 악취가 발생하고, 폐그물에서 나온 썩은 물이 바다로 유입돼 해양 오염 가능성도 제기되기 때문이다.
실제 인근 군부대에서도 악취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폐어구 및 유실어구의 수거·처리 비용은 천재지변 등 경우를 제외하면, 어구 소유자가 부담하는 게 원칙이다.
하지만 20여 년 간 버려진 탓에 ‘소유주’를 알 수 없었고, 결국 면은 군비 1000만 원 가까이 들여 처리해야 했다.
특히 강철로 된 통발의 경우, 그물과 이물질 등을 금속과 분리하지 않으면 소각 업체로 반출하기 어렵다.
수작업 등이 불가피한데 이 과정에서 추가 인건비도 든다.
특히 연평도에 폐통발이 자주 쌓이는 건 지리적 특성과도 관련있다.
면사무소 관계자는 “접경지역 특성상 야간 조업이 제한되면서 (효율성 등을 위해) 어민들이 그물을 통째로 뜯어와 연평도에서 밤새 꽃게 따는 작업을 한다”며 “그러다 보니 일단 바다에 버려지는 통발 없이 섬에 더 쌓이는 구조다”고 설명했다.
이어 “섬 부지가 넓지 않아 선주들이 어구를 자기 땅이 아닌 곳에 보관하는 때도 많다”고 덧붙였다.
군은 약 10억 원의 예산이 편성된 해양 쓰레기 정화 사업 등에 폐기물 처리를 포함시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지난해에도 9억 원 정도가 편성됐다.
그럼에도 폐어구 등으로 인한 말썽이 끊이지 않자 사실상 예산을 증가하거나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군 관계자는 “해수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해양쓰레기 처리 사업 지침에도 (처리) 비용을 지원해 ‘줄 수 있다’이지 폐어구를 모두 치울 순 없는 게 현실이다”며 “예산은 더 증가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