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10년 전 문을 닫은 국방벤처센터 살리기에 다시 나선다.
그동안 재설립 필요성 제기에도 예산 문제로 번번이 무산됐던 만큼 이번 추진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3일 시에 따르면 인천연구원과 함께 국방벤처센터 설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방벤처센터는 방위산업에 진출하려는 중소·벤처기업을 발굴·육성·지원하는 기관이다. 방위산업 기술개발부터 국방부와의 연계까지 다양한 지원을 펼친다.
현재 전국에는 11곳의 국방벤처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인천에서는 지난 2004년 국방벤처센터가 문을 열었지만 11년 뒤인 2015년 시가 사업비 지원을 중단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당시 시의 부채 비율이 39.9%까지 오르며 재정 위기를 겪은 것이 주요했다. 이는 행정안전부의 재정위기 심각 단계 수준인 40%를 근접한 수치다.
인천국방벤처센터는 문을 연 11년 동안 900억 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으며, 1358명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한 바 있다.
이후 재정이 안정된 시가 항공우주산업 육성에 나서며 국방벤처센터 재설립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 시 예산안에도 국방벤처센터 설립비가 반영되지 않아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올해 초 시의회에서도 방위산업 지원을 위해 국방벤처센터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게다가 최근 K-방산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며 국내 주요 방산기업들의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인천은 공항과 항만을 모두 갖춘 물류 허브이자 항공우주·정밀기계·ICT 등 첨단 산업 기반을 보유하고 있다. 국방 관련 첨단 기업 유치에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시는 올해 중장기 ‘항공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우주·방산산업 성장 기반 구축 등 인천형 항공산업 생태계 육성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이 기본계획을 토대로 국방벤처센터 재설립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설립 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뒤 방위사업청과 지자체 간 협업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인천 국방산업 생태계 기반 확대 가능성도 검토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연구원과 설립 타당성 조사를 진행해 첫 단추를 꾈 계획”이라며 “타당성 조사는 올해 중 마무리할 생각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