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20.3℃
  • 맑음서울 16.6℃
  • 맑음대전 18.9℃
  • 맑음대구 19.5℃
  • 구름조금울산 18.6℃
  • 맑음광주 19.1℃
  • 구름조금부산 18.8℃
  • 맑음고창 18.3℃
  • 구름많음제주 20.3℃
  • 구름많음강화 14.8℃
  • 맑음보은 17.9℃
  • 맑음금산 18.6℃
  • 구름조금강진군 19.3℃
  • 맑음경주시 20.6℃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청년·신혼부부 주거난 더 심화…‘내 집 마련까지 14년’ 현실로

자가점유율·주거면적 동반 하락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도 급증
서울 PIR 13.9배·비주택 거처 5.3%
첫 내 집까지 7.9년, 6년 만에 최장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난이 지난해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상승이 이어지는 가운데 젊은 층의 자가 점유와 주거 면적이 모두 줄어들며 주거 불안이 구조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독립 이후 첫 주택을 마련하기까지 걸리는 기간도 최근 6년 사이 가장 길었다.

 

국토교통부가 16일 공개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19~34세)의 자가점유율은 12.2%로 전년(14.6%)보다 2.4%포인트 감소했다. 신혼 가구(결혼 후 7년 이내) 역시 46.4%에서 43.9%로 낮아졌다. 주택을 매입해 임대하는 경우까지 감안해도 전반적인 주거 안정성 악화가 불가피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층은 75.7%에서 75.9%로 소폭 상승해 세대 간 격차는 오히려 커졌다.

 

주거의 질적 수준도 후퇴했다. 청년의 1인당 주거면적은 32.7㎡에서 31.1㎡로, 신혼 가구는 27.8㎡에서 27.4㎡로 각각 줄었다. 정부가 정한 최저주거기준(1인 14㎡, 부부 26㎡, 부부+1자녀 36㎡ 등)을 충족하지 못하는 가구 비율은 청년 6.1%→8.2%, 신혼 1.8%→2.5%로 모두 증가했다. 청년층은 전체 가구 평균(3.8%)을 크게 웃돌아 주거 빈곤이 집중되는 구조가 확인됐다.

 

청년층의 주거 형태도 열악한 실태를 드러냈다. 고시원·판잣집·비닐하우스·컨테이너 등 ‘주택이 아닌 거처’에 살아가는 비율은 5.3%로 전체 평균(2.2%)의 두 배를 넘어섰다.

 

주택 구매 부담은 서울에서 가장 컸다. 서울 자가 가구의 PIR(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은 중간값 기준 13.9배로,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집 한 채 마련에 약 14년이 걸리는 셈이다.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 주요 도시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가구를 기준으로 보면 자가보유율은 61.4%로 0.7%포인트 증가했고, 지역별로는 도(69.4%)·광역시(63.5%)·수도권(55.6%) 순으로 높았다. 자기 집에 실제 거주하는 자가점유율도 58.4%로 1%포인트 늘어 모든 지역에서 증가했다. 자가 가구의 집값은 평균적으로 연 소득의 6.3배였으며, 수도권은 8.7배로 전년(8.5배)보다 상승했다. 광역시(6.3배)와 도(4배)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가구주가 된 뒤 생애 처음 주택을 매입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7.9년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6.9년) 이후 가장 긴 수치다. 전문가들은 “청년·신혼부부의 주거 여건 악화는 주택 가격 접근성 문제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라며 “단기적 대출 확대가 아닌 공공임대 확대·주거비 지원 등 실질적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