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10곳 중 1곳 이상이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부실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6년간 크게 증가한 수치로, 2019년 이후 최대 규모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3일 발표한 ‘기업부실예측분석을 통한 2024년 부실기업 진단’에 따르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7510곳 중 4466곳(11.9%)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됐다. 부실기업 수와 전체 외감기업 대비 비중 모두 201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부실기업 수는 ▲2019년 2508곳(7.9%) ▲2020년 3077곳(9.2%) ▲2021년 4012곳(11.2%) ▲2022년 3856곳(10.8%) ▲2023년 4350곳(11.6%)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경협은 “경기 회복 지연과 업황 부진,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부실기업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을 나타내는 부실확률도 2019년 5.7%에서 2024년 8.2%로 상승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임대업의 부실확률이 24.1%로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15.7%) ▲보건·
정부의 ‘공공주택 100만호 공급’ 목표에 따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공임대주택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건설·매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적자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LH는 적정 정부 지원단가를 추산하고, 부채비율 상향을 정부와 논의하는 등 지속 가능한 사업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H는 조만간 ‘공공주택 사업비 및 적정 재원분담 산정’ 연구용역을 발주해 향후 5년(2026~2030년)간의 적정 지원단가를 추산할 계획이다. 현재 건설형 공공임대주택은 1채당 약 1억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어, LH의 재무 부담이 가중되는 실정이다. 이에 연구용역을 통해 건설원가 및 택지비 상승을 반영한 적정 지원단가를 산정하고, 정부지원율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한다. 현재 정부 지원단가는 3.3㎡당 약 1063만 원 수준이며, 지난해 말 기준 정부지원율은 66.7%로, 2016~2019년 80~90%대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다. 정부도 매년 5~7%씩 지원 단가를 인상하고 있지만, LH의 건설비 상승률(2020년 18.7%, 2021년 14.5%, 2023년 27.7%)을 따라가지 못해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 앞서
이번 주엔 전주 대비 1000가구 이상 늘어나며 총 1100여 가구가 공급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3월 넷째 주에는 전국 4개 단지 총 1184가구(일반분양 1128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분양물량이 156가구에 그쳤던 전주보다 1000가구 이상 늘어난 수준이나 이달 첫째주의 2753가구에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미친다. 주요 단지는 인천 미추홀구 용현동 '용현우방아이유쉘센트럴마린', 대구 중구 남산동 '반월당역반도유보라', 강원 원주시 무실동 '원주역중흥S-클래스' 등 4곳이다. 이번주에도 서울에선 공급이 없다. SM스틸, SM경남기업은 인천 미추홀구 용현동 일원에 공급하는 '용현 우방 아이유쉘 센트럴마린'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지하 3층~지상 41층, 2개 동, 전용면적 59~76㎡, 총 252가구 중 아파트 196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인근에 수인분당선 숭의역이 자리하고 GTX-B노선(예정), 제2경인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 교통망을 갖췄다. 반도건설은 대구시 중구 남산동 938-1번지 일원에 주상복합 단지인 '반월당역반도유보라'를 공급한다. 지하 5층~지상 최고 29층, 2개 동으로 구성되며, 전용면적 84㎡ 단일면적 147가구
롯데가 지난 21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파트너사 임직원 1300여 명을 초청해 ‘2025 롯데 행복나눔 동행콘서트’를 개최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이번 콘서트는 ‘함께 빛나는 순간(Together We Shine)’을 주제로 롯데와 파트너사가 함께 성장해 나가는 의미를 담았다. 행사에 앞서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이사, 이달곤 동반성장위원장, 파트너사 대표들이 함께 동반성장을 기원하는 점등식을 진행했다. 콘서트는 약 100분간 2부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아이비, 국악인 송소희, 팝페라 가수 유채훈 등이 출연해 디토 오케스트라의 반주와 함께 다양한 장르의 무대를 선보였다. 콘서트를 관람한 종합 물류사 김중곤 굿프랜드㈜ 대표는 “롯데와의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해 온 만큼, 이번 콘서트 초청이 더욱 뜻깊게 다가온다”며, “이러한 소통의 자리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어 양사 관계가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롯데 관계자는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고 동반자적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라며, “어려운 시기인 만큼 파트너사와 협력을 바탕으로 함께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쌍용건설이 싱가포르 보건부 산하 공공병원 관리 총괄기관(MOHH, Ministry of Health Holdings)이 주관하는 ‘MOHH Excellence Award 2025’에서 3개 부문을 석권했다. 쌍용건설 조인트벤처(JV)는 우드랜드 종합병원(WHC, Woodlands Health Campus) 현장으로 공로상과 시공(Construction) 부문 플래티넘(Platinum)을 수상했으며, 올해 처음 신설된 개인 최우수상(Individual Excellence Award)에는 김석준 회장이 선정됐다. 이날 시상식은 싱가포르 JW 메리어트 호텔 사우스 비치에서 열렸으며,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 등 경영진과 옹예쿵 싱가포르 보건부 장관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MOHH Excellence Award 2025는 싱가포르의 공공 의료 인프라 개발에 기여한 건설 업계 파트너들을 위해 수여하는 상으로, 2024년 준공과 시공중인 현장에 수여하는 공로상과 전체 프로젝트 중에서 디자인(Design), 혁신(Innovation), 시공(Construction)의 각 부분별 플래티넘(Platinum), 골드(Gold), 메리트(Merit)로 나누어 등급별로 각 1~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3대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을 기록하며 글로벌 소재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25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1954년 시작된 독일 iF 는 Reddot(독일), IDEA(미국)과 함께 글로벌 3대 디자인 어워드로 꼽히며, 디자인 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산업디자인 상으로 인정받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25년 9개 분야 중 Professional Concept 분야에서 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 수상작은 ‘Natural Way’라는 디자인명으로 출품되었으며, 롯데케미칼의 스페셜티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해 패브릭, 가죽 등 자연 질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컬러, 패턴, 입자감을 고도화한 디자인 솔루션이다. 또한 재활용 PC(Polycarbonate)가 적용된 친환경 PC/ASA 소재에 자연스러운 질감 효과를 위한 재생 입자를 함께 적용해 지속 가능한 가치를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모빌리티 인테리어 용도뿐만 아니라 가전, TV, IT 등 디자인 차별화 및 친환경 소재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황민재 롯데케
LG전자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융복합 공기청정기 ‘LG 퓨리케어 에어로시리즈’ 라인업을 확대했다. LG전자는 테이블형 공기청정기 ‘에어로퍼니처’를 비롯해 ▲반려묘용 좌석을 결합한 공기청정기 ‘에어로캣타워’ ▲블루투스 스피커를 부착한 공기청정기 ‘에어로스피커’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신제품은 모듈형 디자인으로 제작돼 고객의 취향이나 필요에 따라 제품 상단에 결합하는 부분을 교체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스피커를 사용하던 고객이 반려묘를 키우게 되면 반려묘용 좌석을 추가 구매해 스피커를 분리하고 좌석을 결합하면 된다. LG전자는 반려동물 시장을 겨냥해 에어로캣타워를 한국과 일본에서 먼저 출시한다. KB경영연구소의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 수는 552만으로 네 가구 중 한 가구 꼴이며, 일본은 반려묘 양육 가구 수가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 수를 넘어섰다. 에어로캣타워의 반려묘용 좌석은 반려묘가 안정감을 느끼도록 돔 형태로 디자인됐다. 반려묘가 자리에 앉으면 저소음으로 운전하는 반려묘용 청정모드가 활성화되고 온열 기능으로 좌석을 따뜻하게 유지해준다. 반려묘용 좌석은
수면 전문 브랜드 시몬스가 출시한 펫 매트리스가 출시 2주 만에 대표적인 패션·라이프스타일 플랫폼에 진출하며 빠른 유통망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시몬스는 업계 최초로 선보인 펫 매트리스 ‘N32 쪼꼬미’가 국내 최대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온라인 셀렉트샵 29CM에 동시 입점한다고 21일 밝혔다.. 비건 매트리스 N32 쪼꼬미는 국내 최초·유일하게 ▲펫 세이프티(PS) 인증(한국 애견협회) ▲비건 인증(비건표준인증원) ▲라돈·토론안전제품 인증(한국표준협회)의 ‘3대 펫 안심인증’을 갖춘 안전한 펫 매트리스로 반려인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제품이다. 무신사는 국내 대표 온라인 패션 플랫폼으로, 최근 오프라인 매장과 글로벌몰, 뷰티 등 신사업을 꾸준히 확장하고 있다. 29CM는 무신사에서 운영하는 감도 깊은 취향 셀렉트샵으로 국내외 다양한 카테고리의 브랜드를 소개한다. 시몬스 침대는 이번 입점을 통해 고객층과의 접점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N32 쪼꼬미는 아이슬란드 청정지역의 유기농 해조류를 원료로 한 비건 소재 ‘아이슬란드 씨셀™’과 천연 식물성 소재 ‘린넨 자가드’를 사용한 폼 매트리스다. 사람이 쓰는 것과 똑같은 원재료로 소재 선정부터 진정성
현대차그룹의 로봇 전문 계열사 보스턴다이나믹스가 AI(인공지능) 강화학습을 통해 한층 진화한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의 동작을 시연하는 영상을 19일(현지 시각) 공개했다. 지난해 11월 공개된 공장 작업 시연 영상에 이어, 이번에는 인간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모습까지 선보이며 로봇의 활용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공개된 영상에서 아틀라스는 총 8가지 동작을 수행했다. 평범한 보행으로 시작했지만, 곧이어 ▲전력 질주 ▲전방 기어가기 ▲전방 회전 낙법 ▲측면 회전 ▲물구나무서기 ▲브레이크 댄스 ▲측면 공중제비 등의 고난도 동작을 연이어 선보였다. 특히 아틀라스가 보통 사람도 하기 어려운 측면 공중제비를 성공했을 때는 연구진들의 환호성이 터져 나올 정도였다. 아틀라스가 달리는 모습은 기존 로봇들과 차원이 달랐다. 단순히 다리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울이며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시켜 실제 운동선수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였다. 이를 본 네티즌들은 “로봇이 브레이크 댄스를 추는 시대가 올 줄 몰랐다”, “달리는 모습이 너무 인간 같다”, “지금까지 본 로봇 중 가장 자연스럽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
서울 강남권 주요 지역의 아파트 시장이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지정 이후 거래량이 절반 이상 줄어든 반면, 매매 가격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토허제 시행 전(2018년 6월~2020년 5월)과 시행 후(2020년 6월~2022년 5월)의 거래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잠실, 청담, 대치, 삼성 등 4개 지역 모두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토허제 시행 후 잠실동의 거래량은 4456건에서 814건으로 81.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청담동(-61.4%), 대치동(-60.1%), 삼성동(-31.5%)도 거래가 급감했다. 거래량이 줄어든 원인으로는 ▲실거주 의무 부과 ▲갭투자 차단 ▲고강도 대출 규제 등이 꼽힌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토허제 시행 후 실거주 목적이 아니면 매입 자체가 어렵고, 대출 규제까지 더해지면서 투자 수요가 크게 위축됐다”며 “이로 인해 시장의 정상적인 거래가 어려워졌다”고 분석했다. 거래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역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대치동 아파트의 매매가격 변동률은 2018년 6월~2020년 5월까지 22.